경제·금융

자산운용사 외형성장속 수익성 악화

투자자문사도 흑자규모 급감

은행의 저금리 기조에 따른 시중자금의 유입으로 자산운용사들이 외형상으론 성장했지만 업계의 보수율 인하 경쟁으로 수익성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 45개 국내 및 외국계 자산운용사의 총수탁고는 185조6천억원으로 전년말에 비해 29.8%가 증가했다. 이 가운데 36개 내국계 자산운용사의 수탁고는 157조5천억원으로 31.4%나 늘어났으나 9개 외국계의 수탁고는 30조4천억원으로 전년말보다 15.8%가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에 따라 내국계 자산운용사의 시장점유율은 83.8%로 전년말(82.0%)보다 소폭높아졌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시중의 개인자금과 연기금 등 기관자금의 일부가 자산운용사로 유입됐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들 자산운용사가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9개월간 올린 세전이익은 85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9.7% 감소했다. 내국계의 세전이익은 656억원으로 18.6%가 줄었고, 외국계는 196억원으로 23.1%가 감소했다. 금감원은 "수탁고의 증가로 자산운용사의 외형은 커졌으나 업계의 보수율 인하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오히려 수익성은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자기자본수익률(ROE)이 전년보다 1.5%포인트가 하락한 3.9%에 그쳤다고 금감원은 덧붙였다. 금감원은 또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48개 투자자문사의 영업실적을 집계한 결과, 세전이익은 2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3.8%나 감소했다고 밝혔다. 특히 17개사가 흑자를 낸 반면 31개사는 적자였다. 금감원은 "자문.일임 계약고가 감소하면서 수수료 수입이 줄어든데다 유가증권등 고유재산의 운용순이익이 줄어들어 세전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말했다. 또 투자자문사의 영업수익 711억원중 자문.일임 수수료의 비중은 31.5%에 그친반면 고유재산 운용수익은 65.5%에 달해 투자자문사의 수익구조가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이강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