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고학년ㆍ남학생일수록 `벼락공부`

초ㆍ중학생들은 남학생, 고학년일수록 `벼락형`으로 공부하는 경향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년이 높아질수록 타율적 학습 경향은 커지고 학습계획을 세우고 중간점검을 하는 태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교육개발원(원장 이종재)이 최근 대도시와 중ㆍ소도시, 읍ㆍ면지역에서 초ㆍ중학교 각 6개씩을 선정, 초등학생 2,4.6학년 785명과 중학교 2학년 244명을 대상으로 학습 태도를 조사한 결과 13일 밝혀졌다. 학습 형태를 점수(꾸준형 0∼벼락형 3)로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 2학년이 0.70, 4학년 0.91, 6학년 1.10, 중 2학년 1.68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벼락형`공부가 증가했고 남학생(1.18)이 여학생(0.99)보다 `벼락형`공부 경향이 강했다. 학습의 자율성 조사(만점 2)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이 1.33, 4학년 1.14, 6학년0.84, 중 2학년 0.65로 어릴수록 스스로 공부하는 경향이 컸고 성별로는 여학생 1.09, 남학생 0.91로 여학생의 자율적 학습 성향이 강했다. 학습 전략 수립 여부(만점 6)도 초등 2학년 3.18, 4학년 3.05, 6학년 2.85, 중2학년 2.39였고 여학생 3.01, 남학생 2.75로 고학년, 남학생일수록 계획적인 학습이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고학년일수록 자율적, 자기주도적 학습 경향이 감소하는데 대해 고학년일수록 상급학교 진학과 관련해 부모의 학습에 대한 권유와 강요가 더 많아지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최석영기자 sychoi@sed.co.kr>

관련기사



최석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