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新 재생에너지 연구센터' 방폐장유치지역에 건립

산자부, 전담부서도 신설

산업자원부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리장(방폐장) 유치 지역에 3,000억원의 특별지원금과 별도로 ‘신재생에너지 연구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산자부는 최근 임시 태스크포스팀으로 운영하던 원전사업지원단을 ‘원전사업기획단’으로 명칭을 바꾸고 부내 공식 조직으로 변경하는 한편 산하에 신재생에너지과를 설치했다. 산업자원부의 한 관계자는 “올 초 조직개편을 통해 자원정책심의관 산하의 신재생에너지팀이 인원을 두 배 가량 늘리며 과로 격상돼 원전사업기획단 산하로 재배치됐다”면서 “방폐장 선정지역에 지원책의 하나로 신재생에너지 연구센터를 두기로 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산자부는 또 우리나라 전력수요의 40%를 담당하고 있는 원전이 신재생에너지 개발 확대에 선봉장 역을 맡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관계자는 “원전 운영을 통한 수익이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생산을 위한 토대가 된다면 원전에 비판적인 시민단체와 일부 여론을 달래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원전사업기획단은 원자력산업과를 비롯, 신재생에너지과, 방사성폐기물과, 대외협력과 등 4개과로 구성돼 있다. 한편 산자부 일각에서는 신재생에너지과를 이번에 원전사업기획단 아래 편재한 것이 장기적으로 원전을 신재생에너지의 일종으로 간주하게 끔 일반인의 인식을 변화시키려는 포석으로 해석하고 있다. 기후변화협약이 발등의 불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거의 없는 원자력이 다른 신재생에너지와 마찬가지로 화석연료의 대안에너지라는 것. 에너지경제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기후변화협약이 가시화하면서 유럽, 미국 등 선진국들이 원전에 대한 관심을 다시 높여가고 있는 점은 눈 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