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동십자각/1월 28일] 말보다 실천이 중요하다

통신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이 오랜만에 한목소리를 냈다. 지난 25일 열린 최시중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과의 신년 간담회 자리에서다. 요지는 보조금 경쟁을 자제하자는 것이다. 이 자리에서 최시중 위원장이 보조금 경쟁을 자제하고 제대로 경쟁해줄 것을 주문하자 이상철 통합LG텔레콤 부회장은 "통신 3사가 보조금으로 연간 8조원을 쓰는데 이 돈을 연구개발(R&D) 비용으로 돌리면 우리나라에도 애플 같은 회사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석채 KT 회장도 "번호이동이나 현금 마케팅만큼은 없애도록 하자"고 화답했다. 방통위 전신인 정보통신부 장관을 지낸 두 CEO의 말이니 무게감과 함께 진정성이 느껴졌다. 그런데 이런 다짐이 과연 실천될 수 있을지 의문이 드는 것은 왜일까. 그동안 통신업계가 보여준 '말 따로 행동 따로'에 대한 불신감 때문이다. 지난해 7월 통신사 CEO 조찬 간담회에서 업계 경영진은 비슷한 합의를 했다. 최시중 위원장이 과열 마케팅을 자제해 여기서 절감된 비용을 투자와 서비스 품질 경쟁에 사용할 것을 요청 한 데 모두 공감을 표시했다. 한 CEO는 "당장 오늘부터 (과도한 마케팅을) 그만둘 것"이라는 말까지 했다. 이후 몇 달 동안 공짜폰이 사라지는 등 과열경쟁이 진정되는 듯했지만 그뿐이었다. 보조금이 되살아나면서 치열한 마케팅 전쟁이 재개됐고 업체들은 서로 합의를 어겼다고 비난하기에 바빴다. 통신업계는 보조금을 시장 활성화를 위한 '필요악'이라고 말한다. 특히 성장 초기인 국내 스마트폰 시장을 키우려면 보조금이 당근으로 활용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보조금 지급으로 소비자의 부담이 줄어들면 스마트폰 판매가 늘어나 결과적으로 시장이 확대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시장 상황을 고려하면 이해할 수 있는 말이다. 그러나 보조금 출혈경쟁의 수혜자가 선량한 가입자보다는 수개월마다 단말기를 바꾸기 위해 이동통신사를 옮겨다니는 이른바 '메뚜기족'이라는 사실은 이 같은 업계의 주장을 무색하게 한다. 정부가 경쟁 자제를 다시 강조하고 보조금 상한선을 두는 가이드라인 제정을 추진하는 것은 최근의 상황이 도를 넘었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통신업계는 '양치기 소년'으로 전락하기 전에 '네 탓' 공방을 그만두고 스스로 건전한 경쟁질서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말이 아닌 실천으로 보여줘야 한다. 올해 신년 간담회가 '과열경쟁 자제'를 다짐하는 마지막 자리였기를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