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케리 “북핵문제 진전 필요…반응 지켜봐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북핵 문제의 진전이 필요하다면서 국제사회의 요구에 대한 북한의 반응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28일(현지시간) 국무부 녹취록에 따르면 케리 장관은 전날 워싱턴DC 미국평화연구소(USIP)에서 열린 행사에서 “우리는 북한에 국제의무를 지킬 것을 요구하고 있고 말로만 그러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우리는 진전(move forward)이 필요하고 북한이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자기 주민들의 삶을 더 낫게 하려는 투자는 하지 않고 살상을 위한 미사일에 부족한 자원을 투입하는 불량국가(rogue state)를 어떻게 용서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관련기사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을 포기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언급이나 최근 북핵 6자회담 재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비핵화 대화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시사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케리 장관은 이달 초 일본에서 열린 ‘미·일 안전보장협의위원회’를 개최한 뒤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비핵화를 결심하고 이를 위해 진정성있는 협상에 나선다면 우리는 대화할 준비가 돼 있으며, 북한과 불가침 조약을 체결할 준비도 돼 있다”고 말하는 등 최근 대화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케리 장관은 USIP 연설에서 지난 1960년대 초부터 본격화한 국제사회의 핵실험 금지노력이 상당부분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북한이 이를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50년전 발효된 부분적 핵실험금지조약(LTBT)에서 지난 1992년 조지 H.W. 부시 대통령이 제안한 전면적 핵실험 모라토리엄에 이르기까지 이뤄낸 성과를 간과해선 안 된다”며 “21세기 들어 단 한 나라만 이를 저버리고 있다”고 북한을 직접 지목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