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조기 위암 '내시경수술법' 자리잡아

순천향대 조주영교수 200건 성공<br>수면 상태서 시술 고통 없어<br>회복 빠르고 흉터도 안남아

순천향대병원 소화기센터 의료진이 위암환자를 내시경으로 수술하고 있다.

조기 위암의 치료법으로 시행되고 있는 내시경 수술이 자리를 잡고 있다. 순천향대학교병원 소화기병센터 조주영 교수팀(심찬섭 정인섭)은 최근 “조기위암 내시경 수술(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ㆍEISD) 200건을 달성했다”면서 “이는 내시경 수술이 조기위암 치료법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이 시술은 암 크기와 위치 등을 확인한 다음 조직을 부풀려 위점막을 절개하고, 생선회를 뜨듯 암 덩어리를 잘라내는 방법이다. 따라서 기존의 올가미를 이용한 위점막절제술보다 완전 절제율을 높인 것이 장점이다. 전신마취 없이 수면상태에서 시술이 이뤄지고 위장 전체를 그대로 보존하기 때문에 삶의 질 차원에서도 권할만하다. 짧은 입원기간과 빠른 회복, 흉터가 전혀 남지 않고 감염이나 합병증에 대한 위험도 적어 고령이나 만성질환에 의해 수술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유익하다는 것이 의료진의 설명이다. 특히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이나 위점막절제술과 같은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환자와 외과 수술을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을 비교해 보면(순천향대 소화기연구소 자료) 각각 96.4%와 95%로 특별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8년부터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EISD)을 도입한 조주영 교수팀은 초기에는 암 크기가 2㎝ 이하인 경우에만 주로 시행했으나 요즘은 진단 및 수술법의 진보로 림프절 전이가 없을 경우 10㎝ 이상 암도 시술, 만족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조 교수는 “보다 안전한 시술을 위해서는 초음파내시경이나 확대내시경으로 암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시술 과정에서 위장에 구멍을 내거나 출혈로 인한 합병증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숙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