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겨우내 찌든 車 세차부터 말끔하게~

■ 나들이 가기전에 이것만은 꼭 챙기자<br>차체 아래쪽에 붙은 염화칼슘 씻어내야 노후화 방지<br>스노타이어는 일반타이어로 바꾸고 공기압 점검도<br>에어컨 성능 떨어진다면 가스 누출여부 체크를


겨우내 움츠렸던 만물의 기운이 살아나는 봄이다. 요즘 주말에는 봄을 맞아 나들이 가는 사람들로 도로가 꽉 막힐 지경이다. 이럴 때 차에 이상이라도 생기면 즐거운 기분을 망치는 것은 물론 안전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엄동설한을 이겨낸 자동차는 상당한 피로가 쌓여 있다. 따라서 봄철은 1년 중 가장 정성스레 차를 돌보고 손질해야 할 시기다. 특히 에어컨 등 냉각계통은 겨울에 방치하기 쉬운 부분이므로 반드시 점검해야 하고 실내외를 꼼꼼히 청소해야 차량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다. ◇산뜻한 봄처럼 세차도 깨끗이=겨울철에 제설작업을 위해 도로에 뿌려졌던 염화칼슘은 자동차를 부식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차체 아래까지 확실히 세차해야 차량 노후를 막을 수 있다. 또 차량 하체를 깨끗하게 하면 노면소음을 줄여 방음효과를 높일 수 있다. 강한 수압으로 여러 차례 물을 끼얹어 세차해내는 것이 좋다. 엔진룸은 기름 먼지를 우선적으로 닦아내고 엔진오일ㆍ브레이크오일ㆍ냉각수 등이 새는지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 만약 새는 곳을 발견하면 가까운 정비업체에 가서 점검을 받아야 한다. 트렁크는 물건을 모두 꺼내고 진공청소기를 이용해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한다. 불필요한 짐들을 차에서 덜어내면 연비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죽시트는 먼지를 털어내고 용도에 맞는 왁스를 이용해 닦아준다. 다만 휘발성 세척제는 색을 변질시키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겨우내 히터 바람이나 담배연기에 찌든 차의 구석구석을 청소해야 산뜻한 기분을 맛볼 수 있다. 특히 봄철에는 황사가 잦기 때문에 에어클리너, 실내히터, 에어컨 공기필터의 교환주기를 평소보다 앞당길 필요가 있다. 히터 통풍구 안팎에 세균제거제를 뿌리면 황사의 실내 유입이 줄어든다. 또 황사비가 온 후에는 손잡이나 라디에이터 그릴 등 크롬도금이 쉽게 녹슬 수 있기 때문에 광택제를 충분히 발라줘야 한다. 황사가 심한 날 무리하게 와이퍼를 작동하면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먼지를 대강 제거한 후 와이퍼를 사용해야 한다. ◇새로운 신발로 갈아 신자=겨울철에 사용했던 스노타이어는 일반타이어로 교체해야 한다. 스노타이어는 휠에 끼워 보관해야 모양이 변형되지 않으며 신문지로 포장해 보관하면 습기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타이어로 교체할 때 타이어 표면에 있는 마모한계 홈 깊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타이어의 결함은 자칫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잊지 말자. 전문가들은 “일반타이어 교체시 타이어 성능 강화를 위해 타이어 주변에 윤활제를 바르고 밸브도 새것으로 교체하라”고 조언한다. 겨울철에 타이어 접지력을 높이기 위해 공기를 조금 빼고 운전하는 운전자도 있는데 봄이 되면 노면이 정상적으로 바뀌기 때문에 공기압도 적정 수준으로 맞춰야 한다. 타이어는 1만㎞마다 위치교환과 함께 휠 밸런스 점검, 3만~4만㎞마다 휠얼라인먼트를 점검해야 한다. ◇에어컨 점검도 필수=겨울철에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에어컨도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약 5분 정도 에어컨을 작동시켜 정상적으로 가동되는지 확인한다. 에어컨 냉방 성능이 현저히 떨어졌다면 에어컨 가스가 누출됐는지 여부와 에어컨 벨트가 손상됐는지 등을 점검해야 한다. 찬바람이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냉매를 확인해야 한다. 시동을 켠 후에 에어컨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라디에이터 중앙 상부에 있는 냉매 확인 창을 보면 알 수 있다. 공회전 때 기포가 많거나 냉매가 전혀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냉매를 충전해야 한다. 에어컨을 작동할 때 매캐한 냄새가 나면 곰팡이제거제를 이용해 공기 유입통로에 먼지나 습기를 제거해야 한다. 최근에는 거품이 에어컨 내부의 먼지를 청소하는 사용하기 간편한 에어컨 클리너도 시중에 나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