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신세계 상품권 부당거래 파문

신세계백화점이 상품권 부당거래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어 파문이 예상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부산지방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상품권 유통업체와 짜고 수백원어치의 상품권을 허위로 거래한 혐의로 최근 서울 중구 충무로 신세계백화점 본점과 부산 해운대구 센텀시티점 상품권 담당 부서를 압수수색했다. 이와 함께 명동 등의 서울지역 대형 상품권 도매 거래업체 4~5곳에 대해 신세계와 거래 사실이 있는지 집중 조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신세계가 상품권 판매실적을 올리기 위해 속칭 ‘깡 업자’로 불리는 상품권 유통업자와 손잡고 법인 수십곳의 명의를 도용해 고의로 상품권 매출을 일으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한해 7조원 규모가 발행되는 상품권은 백화점 뿐 아니라 소위 ‘2부 시장’으로 불리는 상품권 매매 시장에서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 특히 백화점 상품권은 백화점 매장 뿐 아니라 면세점과 대형마트, 기타 유명 외식브랜드와 리조트 등 제휴처가 많아 전체 상품권 유통량 중 50%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 여기에 법인이 법인카드로 구매하면 우선 발행처인 백화점에서 2~5%의 할인율이 적용돼 그만큼 상품권을 더 받을 수 있고 2부 시장에서도 최고 5%를 뗀 현금으로 바로 바꾸는 것이 가능해 기업들이 급전을 만들 때 상품권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상품권은 지난 99년 상품권법 폐지 이후 누구든 쉽게 발행이 가능한데다 쉽게 현금화가 가능해 지하 금융권에서의 수요는 매년 끊이지 않고 있다. 한 백화점 상품권 업무 담당자는 “매년 명동 일대 사채업자들에게서 수천억 규모의 상품권 거래 제안을 받는다”고 귀띔하기도 했다. 이처럼 상품권이 ‘검은 돈’과 가까운 만큼 이번 신세계의 상품권 부당거래가 비자금 조성을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신세계측은 “지난 2008년 부산 지역의 법인 영업을 담당하는 직원이 판매 실적을 올리기 위해 깡 업자들과 거래한 것”이라며 “직원이 저지른 부당거래일뿐 비자금 조성과는 관계없다”고 해명했다. 업계에서는 상품권 발행을 둘러싼 백화점간의 경쟁을 이번 사태의 중요한 원인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매년 롯데와 현대, 신세계 등 주요 백화점 3사는 어느 곳이 상품권 발행 1위 업체인지를 두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또 백화점 등 유통업체의 경우 자사가 발행한 상품권의 판매액은 대부분 점포를 통해 회수되는 ‘미래 매출’인 만큼 업체간 영업 전쟁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한편 경찰이 신세계뿐 아니라 상품권 불법유통과 관련해 다른 유통업체로도 수사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업계는 ‘신세계발(發)’ 상품권 파문의 불똥이 튀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