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고유가 추세가 이어질 경우 서울시민이 승용차 운행으로 연간 총 3조7천700여억원의 연료비를 지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금액은 시내버스의 연간 총 연료비에 비해 12배가 넘는 것이어서 10부제 운행 등 승용차 운행 억제를 위한 수요관리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뒷받침하고있다.
25일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경철 박사가 서울시에 제출한 `서울시민이 지출하는유류비용 검토'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민이 현재의 유가 수준에 비춰 승용차 운행으로 지출하게될 연간 총 연료비는 3조7천741억원으로 시내버스의 2천960억원에 비해12.8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시민이 운행하는 승용차 한 대당 하루 평균 주행거리는 38.81㎞, 연료 소모량은3.7ℓ, 연료비는 5천28.3원, 지난 6월말 기준으로 승용차 등록대수는 205만6천674대이다.
7월말 현재 휘발유와 경유의 가격이 ℓ당 1천359원과 828원을 적용, 승용차 1통행에 소요되는 평균 연료비는 1천295원, 버스 1통행에 필요한 평균 연료비는 105원으로 산출됐다.
김 박사는 "서울시내를 운행하는 승용차가 10% 줄어들면 연간 3천774억원의 연료 비용이 절감된다"며 "절감된 비용으로 승용차 운행을 포기하도록 운전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훨씬 경제적이고 대중교통으로 전환 효과도 클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창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