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반도 이상건조…봄가뭄 극심

한반도는 5일 현재 제주도와 울릉도·독도, 서해 5도 등 일부 도서지역을 제외한 전국에 걸쳐 건조주의보가 내려져 있는 등 극도로 메마른 날씨로 인해 대지가 바싹바싹 타들어가고 있다.특히 서울경기와 강원지역의 경우 지난 2월19일 건조주의보가 발효된 이래 지금까지 47일째 건조상태가 계속되는 등 극심한 봄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물기하나없는 대기상태 때문에 지난 1월1일부터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무려 400건이상의 산불이 발생, 630㏊가 넘는 산림을 태우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강수량을 보면 지난해 12월1일부터 이날까지 전국 대부분 지방에 걸쳐 평년에 비해 겨우 절반인 수준에 불과하다. 아직까지는 지난해 여름 집중호우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비가 쏟아지면서 전체적으로 저수량이 바닥을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이같은 건조상태가 계속될 경우 자칫 물부족현상마저 나타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기상청은 우리나라를 장기간 말리고있는 1차적인 기상원인으로 중국북부 내륙지방을 중심으로 형성돼 있는 강한 고압대를 지목하고 있다. 이 고압대가 중국남부 지방에서 한반도로 접근하는 저기압의 북상을 차단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또 2차적으로는 최근 한반도 주변을 둘러싼 채 강하게 유지되고 있는 동서고압대를 꼽고 있다. 이 고압대의 영향으로 북쪽 기압골은 주로 중부지방 이북으로 비켜 지나가게 되고 남쪽 기압골은 제주도 남쪽 먼해상으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건조상태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기상청은 「4월 기상전망」을 통해 남부지방의 경우 2∼3차례 정도 기압골이 통과하면서 비가 예상되지만 강수량은 평년(72∼189㎜)보다 적을 것으로 보고 있어 당분간 「메마른 봄」이 지속될 전망이다. 최석영기자SYCHOI@SED.CO.KR 입력시간 2000/04/05 18:04

관련기사



최석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