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전교조, 국익과 공익은 안중에도 없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교원평가 시범실시에 맞서 반(反)아시아ㆍ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계기수업을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한데 이어 집단 휴가투쟁과 궐기대회까지 벌이기로 하는 등 파문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반 APEC 수업의 경우 전교조 부산지부가 만든 자료에 욕설과 비속어가 포함돼 파문을 일으킨 바 있다. 거센 비판에 자숙하기는 커녕 이를 전국으로 확대 실시하겠다는 것은 교육단체 임을 포기한 것이란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이번 계기수업 확대는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원평가제 강행에 맞서기 위한 정치적 공세의 성격이 짙다는 것이 공통된 인식이다. 일반회사도 근무평가가 끊임없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국가의 미래를 짊어질 차세대의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자질과 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공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국민 대다수의 찬성과는 달리 반대를 위해 연가투쟁까지 하겠다는 것은 국민을 무시하는 처사다. 더구나 국가의 큰 행사인 APEC까지 투쟁의 수단으로 삼아 찬물을 끼얹는 것은 지나치다. 부산지부가 만든 공동수업 자료처럼 편향된 수업을 하면 많은 후유증을 남기게 된다. 그럴 경우 자신들의 목적 달성을 위해 학생들을 볼모로 잡았다는 비판을 면치 못하고 전교조가 내세웠던 참 교육의 실체도 의심 받게 된다. 전교조는 참 교육을 하겠다던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현장체험 교육을 하고 폭력과 촌지 등의 추방운동을 폈을 때 국민은 전교조 활동을 긍정적으로 보기도 했지만 지금은 아니다. 가입자가 주춤하고 있는 현실이 이를 반증한다. 학생과 학부모는 물론 같은 교사와의 공감대가 없는 노조의 미래는 밝다고 할 수 없다. 더욱이 교육현장의 문제 보다 APEC이나 이라크 파병 등 정치적 현안에 관심을 갖고 편향된 정치교육을 계속한다면 노조의 입지는 점차 좁아질 수밖에 없다. 전교조도 앞으로 비교육적 활동을 자제해야 겠지만 정부도 교육기본법을 위반한 활동엔 단호히 대처하고 학부모들도 전교조의 이 같은 활동엔 목소리를 높여 견제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