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스타경제학 이해는 현대 경영의 필수요건

대중의 인기를 먹고 사는 스타의 일은 '명성(fame)'을 만들고 유지하는 것이지만 다른 노동과는 너무 달라 아직도 제대로 이해되지 않고 있는 분야다.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는 28일 스타를 탄생시키고 관리하는 일은 여전히 소수의 전문가들에게 맡겨져 있지만 엄청난 성장 산업인 데다 스타 그 자체는 기업이 대중에게 접근할 수 있는 통로가 되기 때문에 현대 경영인은 반드시 스타 경제학을 이해해야만 한다고 충고했다. 이 신문은 인기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의 노동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지를 놓고갖가지 학설이 있다고 소개했다. 연예인은 일을 하면서 콜 센터의 교환원처럼 감정을 속여야하기 때문에 '감정노동자'(emotional laborer)로 분류되기도 하고 외모를 주요 무기로 삼기 때문에 '미적 노동자'(aesthetic laborer)로 불리기도 한다고 신문은 전했다. 라이프 스타일을 창출하고 대중에게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판다는 점에서 '아이덴티티 노동자'(identity laborer)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해 영국 스태포드셔 대학의 엘리스 캐시모어 교수는 "스타의 노동은 연기나 노래, 스포츠가 아니라 대중 앞에 존재를 드러내는 것 그 자체"라고 설명했다. 미국의 영화배우 톰 크루즈는 영화뿐만이 아니라 이혼과 결혼의 반복, 신앙생활, 동성애에 대한 강한 반대 의견 등 내밀한 사생활을 끊임없이 드러내 왔다. 캐시모어 교수는 톰 크루즈가 하고 있는 이런 다양한 노동의 가치는 객관적 기준에 의해 매겨지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보고 듣고 읽는 소비자들이 이른바 '죄책감없는 관음증'을 통해 얼마나 즐거워하느냐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했다. 이런 관점에 따르면 스타들은 '존재 노출 노동자'(laborer of appearance)로도 분류가 가능하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스타는 그 자체가 노동의 주체이자 생산물이기 때문에 정확한 가치 측정은 매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스타는 스스로가 하나의 미니 브랜드가 돼 매니저와 메이크업 아티스트,사진작가, 홍보담당자 등 다양한 직업을 창출해 경제에 기여한다. 신문은 기술발전에 따른 24시간 미디어의 등장은 더 많은 스타를 요구하고 있다면서 '존재 노출 노동'을 통해 무형의 가치를 창출하는 스타는 기업과 대중을 연결하는 고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현대 경영은 반드시 스타를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