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은 지금 비관주의에 빠졌다"

佛월간지 "북미관계 악화, 한일 관계 긴장, 경제 어려워"

"비관주의, 이것이 한국의 정계나 노조 책임자들과 토론할 때 나타나는 지배적인 느낌이다." 프랑스의 권위있는 월간지인 르 몽드 디플로마티크의 이냐시오 라모네 편집인은 최근 발행한 7월호 1면에 '한국 속의 경보(Alertes en Coree)'란 제목으로 기사를 실었다. 파리 7대학 교수이기도 한 라모네 편집인은 미국의 문화 패권주의를 비판하는 대표적인 논객으로 지난달 '스크린쿼터 지키기 영화인 대책위원회' 초청으로 방한해 강연회를 갖고 각계 인사들을 두루 만났었다. 라모네 편집인은 "북한과 관련한 미국과의 긴장이 계속 악화되고 있고 일본과의 관계도 여전히 긴장 상태에 있다. 게다가 경제 사정도 나쁘다. 경제 성장이 숨이 가빠진 상황에 있고 아시아 3위 경제국인 한국은 소비 감소와 수출 둔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의 임시직 근로자 노조 관계자들과의 면담 내용을 언급하면서 세계화의 압력 아래 한국의 고용 불안정 상황이 크게 악화됐다는 지적도 했다. 그는 "세계어느 곳에서도 고용 불안정 상황이 이 정도에 도달한 경우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런 사회적 긴장들에다 북한 체제가 동북아에 드리운 핵 위협과 연계된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최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방북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6자회담 복귀 용의 발언을 소개하면서 "이제 공은 미국 진영으로 넘어갔다. 부시 대통령은 자신의공격성을 줄이고 동맹국 한국이 권고하는 대로 따라 줄 수 있을 것인가"라고 물었다. (파리=연합뉴스) 이성섭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