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상품 경쟁력강화 시급”/무역협회 뉴욕지부 진출업체대상 설문

◎대미수출품 품질·가격경쟁력 모두 열세/R&D투자 확대·신제품 개발 “최대과제”미국에 진출한 한국 주요기업들이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수출제품의 가격 및 품질경쟁력 약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뉴욕지부(지부장 박동우)가 25일 미국에 진출한 현대, 삼성, LG, 대우, 선경, 쌍룡, 효성, 코오롱 등 국내 주요기업의 지·상사 47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 지·상사들은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제품의 가격 및 품질경쟁력 약화 (55.8%)를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각종 세무상 애로(16.3%) ▲마케팅능력부족 및 자금 부족 (11.6%) ▲수입규제 강화 및 상품정보의 부족 (9.3%) ▲기타(7.0%) 순이었다. 한국 상품의 가격수준에 대해서는 경쟁국과 비교하여 대부분 비싸거나(34.3%) 비슷한 것(60.0%)으로 응답해 대미수출상품이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업체들은 한국 상품의 주요 경쟁상대로는 ▲일본(18.8%) ▲국내 동종업체간의 경쟁(17.8%) ▲대만(13.9%) ▲미국현지업체(12.9%) ▲중국 (12.9%) ▲인도네시아(5.0%) 순으로 지적, 국내업체 간의 경쟁이 일본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가격경쟁력 회복의 방안에 대해서는 ▲연구개발 투자확대와 신제품 개발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41.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금융비용 절감을 위한 금리인하(22.6%)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장 설비 자동화(18.9%) ▲저가 원자재의 안정적 확보(13.2%) 순으로 꼽았다. 또 한국 상품을 경쟁국과 비교할 경우 성능, 디자인, 내구성 등 품질에 있어서는 대체로 비슷하거나 큰 차이가 없는데 반해 상품의 인지도, 다양성, 유통판매망, AS 등 품질이외의 부문에서 열세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따라 기존 제품의 성능 및 디자인 등의 꾸준한 품질개선과 상품의 다양화, AS망의 확대 그리고 기업차원의 광고, 국가차원의 이미지 제고 등에 높은 비중을 두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한편 응답업체들의 상당수는 미국 경기의 호황에 힘입어 내년도 한국의 대미수출이 올해보다 신장 (94.4%)할 것으로 낙관한 반면에 대미 수출비중이 높은 반도체 주종 수출업체의 경우 대미 수출이 오히려 감소(5.6%)할 것으로 전망했다.<고진갑>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