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버스승객 혼란 불가피

서울요금제 대폭 개편…경기도는 현행유지 "적자부분 부담 거부"<br>지자체마다 요금다르고 무료환승도 안돼

서울의 버스요금체계가 대폭 바뀌는 오는 7월1일부터 서울과 경기도를 오가는 시민들의 버스요금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버스 무료환승 부담금’을 둘러싼 양 지방자치단체 협상이 결렬돼 경기도 버스에서 서울 버스로 환승할 경우 ‘무료’ 혜택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당초 서울시와 함께 다음달 1일부터 버스요금을 인상하려던 계획을 유보하고 당분간 현 체계를 유지하기로 잠정 결정했다고 22일 밝혔다. 경기도에 따르면 그동안 서울시와 버스요금체계 개편을 공동 시행하기 위해 협의를 벌여왔으나 무료환승 때 발생하는 적자 일부분을 경기도가 부담하도록 하는 서울시안을 받아들일 수 없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도는 당초 서울시와 같이 시내버스 기본요금을 800원으로 인상하는 등 각종 버스요금을 평균 30% 가량 인상하고 통합거리비례제도 도입할 계획이었다. 이에 따라 도는 도시형 시내버스 기본요금 700원(교통카드 사용시 650원), 좌석버스 1,300원, 직행좌석버스 1,500원 등 현행 버스요금체계를 당분간 그대로 유지한다. 그러나 서울시는 주행거리 10㎞까지 기본요금 800원, 이후 버스나 지하철로 갈아탈 경우 5㎞마다 100원의 요금이 추가되는 새로운 버스요금체계를 확정, 계획대로 다음달 1일부터 본격 시행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서울시와 경기도가 다른 버스요금체계를 운영하게 돼 앞으로 서울과 경기도를 오가는 버스승객들은 소속 지자체에 따라 다른 버스요금을 내야 하는 것은 물론 서울과 경기도 버스로 갈아탈 때는 무료환승이 되지 않아 요금부담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조청식 경기도 교통과장은 “적자의 일부를 경기도가 부담하라는 서울시의 주장은 사실상 공영제를 전제하는 것으로 도 입장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그러나 승객의 혼란을 덜어주기 위해 이른 시일 내 재협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서울과 경기도를 오가는 승객 중 대다수가 이용하는 광역버스의 경우 개편요금이 경기도 기준에 맞춰 결정됐기 때문에 큰 혼란은 없을 것”이라며 “시민들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요금 일원화를 계속 협의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영현기자 yhchung@sed.co.kr 수원=김진호기자 tigek@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