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硏보고서 "은행권으로 자금쏠림, 당분간 지속될것"

투자자 안전자산 선호 더 뚜렷해져

글로벌 금융불안의 여파로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확산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은행권으로의 '자금쏠림'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영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2일 '금융권역별 자금이동 현황과 특징'이라는 보고서에서 "최근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더욱 뚜렷해지면서 은행권으로 자금이동이 크게 늘고 있다"며 "이는 은행의 유동성 확보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들어 은행의 정기예금은 월평균 4조7,000억원이나 늘어 지난해의 월평균 증가액(1조원)을 크게 웃돌았다. 지난 1월 한시적인 특판예금 판매에 힘입어 20조3,000억원 늘어난 은행권의 정기예금은 5월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증가해 9월 말 현재 잔액이 316조6,000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시입출식예금 잔액(요구불예금 제외)도 유동성 선호현상에 힘입어 9월 말 현재 173조5,000억원으로 2006년 12월 말의 179조3,000억원 이후 월별 잔액으로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단기 부동자금과 증시 주변자금은 전반적으로 증가세가 둔화되거나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머니마켓펀드(MMF) 잔액은 9월 들어 12조9,000억 원이나 감소했으며 증권사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잔액은 8월 말 32조2,000억원을 기록한 뒤 9월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고객예탁금도 지난해 중반 정점을 찍고 난 뒤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며 주식형펀드 잔액도 8월 말 144조1,000억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9월에는 1조1,000억원 감소했다. 김 연구위원은 "은행으로 자금이 이동하는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은행들은 급격한 대출자산 축소 등과 같은 초단기 유동성 확보책보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출정책을 서서히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