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미술경매시장 정부통제 필요"

화랑協 "경매사 독주로 질서 무너져… 관련법 제정해야" 주장<br>토론회등 문제점 부각 나서



"한번에 300억원 이상이 오가는 미술품 경매시장에 아무런 감시기구가 없다는 건 문제지요. 시장의 공정 질서를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합니다." 경매 회사의 독주 추세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화랑협회(회장 이현숙)가 경매 회사의 거래 관행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이들은 국회 토론회에 이어 세미나 개최 및 관련부처에 탄원서 제출 등을 통해 경매회사들의 문제점을 부각시킬 계획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10여개의 경매회사가 난립하는 등 시장 팽창과 그에 따른 시장 질서 교란 행위에 대한 화랑 협회측의 대응의 차원으로 해석되고 있다. 경매회사가 급성장하는 반면 화랑가는 위축되고 있어 이들의 거래 관행을 간과한다면 미술시장의 파행이 불가피하다는 우려에 따른 것. 그러나 미술 시장의 꽃으로 불렸던 화랑이 점차 설 자리가 좁아짐에 따라 화랑의 어려운 상황을 적극 외부에 알리겠다는 복안의 의미로도 보인다. ◇화랑협회, 경매회사 문제 알리기에 적극 나서= 협회는 정부에 문제점을 적극 알릴 계획이다. 우선 122개 화랑이 소속된 화랑협회는 오는 28일 '미술시장 유통활성화를 위한 세미나'를 개최한다. 지난해 7월 18일 국회에서 '화랑과 경매의 제 역할 찾기'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연 데 이어 1년 여 만에 비슷한 주제로 다시 화랑협회가 행사를 개최하는 것. 세미나는 문화관광부 후원으로 열리며 윤진섭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장의 사회로 학계ㆍ평론계ㆍ화랑계 인사가 주제발표와 토론에 나선다. 협회는 또 문화관광부와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련 경제부처에 제도개선을 요구하는 탄원서도 제출할 예정이다. 이 회장은 "경매회사가 시장의 룰을 망가뜨리면서 독주하게 되면 미술시장은 공멸하게 된다"며 "화랑과 작가가 없다면 경매회사도 존재할 수 없는데 이를 망각하고 무조건 돈 벌기에 급급하다"고 역설했다. 박우홍 동산방 화랑 대표는 화랑들이 아트펀드에 참여하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를 제기했다. 박대표는 "화랑들이 자기 화랑과 관련되는 작가들의 작품을 펀드에 포함시키게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화랑이 펀드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면 안된다"라고 주장했다. ◇미술 경매법 제정 등 정부 통제 필요성 제기= 한 회 낙찰되는 금액이 300억원을 넘는 미술품 경매시장에 대해 화랑협회는 경매 관련법 제정 등 정부차원의 통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화랑협회가 제시한 경매회사의 불공정 행위들은 ▦검증되지 않은 작가 작품 가격 띄우기 ▦관련 화랑들과의 담합 ▦지나치게 자주 열리는 경매 횟수 등. 특히 가나아트갤러리(서울옥션), 갤러리 현대(K옥션) 등 대형 화랑들이 경매 시장을 독식하고 있는 체제에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 회장은 "전속작가의 작품을 경매에 출품하는 등의 행태가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어 더 이상 내버려 두면 작가를 키우는 화랑이 사라질 수 밖에 없다"며 "지금까지 협회차원에서 관련 화랑들에게 기준을 만들어 지키자고 여러 차례 권고해 왔으나 지켜지지 않는 등 협회가 통제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났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국가차원에서 경매회사들을 감시하지 않는다면 컬렉터는 물론 화랑과 작가 모두에게 큰 피해가 돌아가게 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