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도 인사 태풍

1·2급 고위 공무원 10여명에 명예퇴직 권고

서울시가 1ㆍ2급 고위 공무원 10여명에게 명예퇴직을 권고, 중앙 정부를 요동치게 한 인사 태풍이 서울시로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서울시의 고위직 `물갈이 인사'는 인사의 숨통을 트고 조직을 쇄신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서울시는 연말 3급 이상 국장급 정기인사를 앞두고 "1952년생 이상 간부에 대해 명예퇴직을 권고하고 행정고시 22회 이전 기수에게는 명퇴 의사를 물은 것"으로 24일 밝혔다. 이에 따라 당사자들이 명퇴 권고를 수용한다면 3급(국장) 이상 고위직 10여명이 옷을 벗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명퇴 권고는 4급(서기관) 이상 간부의 95% 이상이 행정고시 출신이라는 간부층의 인사적체를 해소해 조직을 쇄신하겠다는 오세훈 시장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고시 23회인 라진구 행정1부시장의 선배인 22회 이전 기수들의 경우 1년 가까이 후배의 지휘를 받아왔으며, 이런 상황이 장기화하면 조직 운영에 부담이 된다는 판단이 명퇴 권고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시 고위 관계자는 "조직의 숨통을 트고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불가피하게 명퇴를 권고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인사가 순조롭게 이뤄진다면 애초 10명 안팎으로 추진된 것으로 알려진 3급 승진 인사가 20명 이상으로 늘어나는 등 연쇄적인 승진ㆍ전보 인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그러나 당사자들 가운데 일부는 "후배들을 위해 용퇴하겠다"는 입장을 보인 반면 일부는 "명퇴 기준이 너무 획일적"이라고 반발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번 명퇴 대상자 10여명 가운데 1급인 김상국 서울시의회 사무처장을 제외하곤 법적으로 정년이 최소한 3년 이상 남아 있다. 한 명퇴 대상자는 "공식ㆍ비공식 통보를 전혀 받지 못했다"며 명퇴 대상자로 선정된 데 대해 불쾌감을 나타냈다. 시 고위 관계자는 "1급을 제외한 고위 공무원은 법적으로 신분이 보장돼 있기 때문에 명퇴를 명령하는 것이 아니라 권고하는 것"이라며 "명퇴 권고는 대상자들에게 모두 이뤄졌고, 거취 여부는 최종적으로 본인들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가 일으킨 `고위직 명퇴' 바람은 앞으로 시 산하 공기업은 물론 다른 지자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