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유상증자 투자] 약세장선 할인율 높아 고수익 가능

신주 물량 많을땐 주식가치 하락 감안해야<br>배정기준~청약일까지 차익매물도 유의를<br>등록사는 편법ㆍ탈법 활용 사례 많아 "조심"

[유상증자 투자] 약세장선 할인율 높아 고수익 가능 신주 물량 많을땐 주식가치 하락 감안해야배정기준~청약일까지 차익매물도 유의를등록사는 편법ㆍ탈법 활용 사례 많아 "조심" • 경영진 인수 물량 많을땐 기업 전망 '긍정적' • 유상증자 통한 우회등록 많다 등록기업들을 중심으로 유상증자에 나서는 기업들이 다시 늘어나는 모습이다. 기업입장에서는 원금과 이자 부담 없이 자본을 조달할 수 있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주식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가질 만하다. 전문가들은 “증자참여 여부를 결정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 기업경영의 주변환경”이라고 지적한다. 기업이 증자를 결정하는 것은 대개 ▦투자자금 마련 ▦금융비용 조달 ▦경영여건 불투명에 따른 운전자금 확보 등을 위해서인 만큼 제반 여건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코스닥기업의 경우 자금마련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사채 자금 유입 등 각종 편법과 탈법마저 동원하는 사례도 있어서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한때 세상을 시끄럽게 한 증자 대금의 허위ㆍ가장 납입은 물론이거니와 물량 인수자와의 이면 계약 가능성도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 ◇키워드는 발행가액과 할인율= 최대한 시가보다 싸게 사야 고수익이 가능한 만큼 핵심은 신주 발행가와 할인율이다. 증시가 활황이고, 기업의 전망도 밝다면 낮은 할인율을, 투자 심리가 얼어붙은 때는 최대한 높은 할인율을 적용해 투자자들의 마음을 움직여야 한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일반 공모의 할인율은 30%, 제3자 배정은 10%며, 주주배정은 자율적으로 결정토록 돼 있다. 신주배정 비율도 체크해야 한다. 발행할 신주가 기존발행 주식 수에 비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며 비율이 지나치게 크면 물량 부담에 따른 주당순이익(EPS)이 내려가는 가치 희석은 불가피하다. 상승장에서는 증자 발표가 호재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지만 말 그대로 일반론일 뿐 신주등록 일정과 물량 등을 고려해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증자 진행 중 주가 흐름= 통상 상승장일 때는 배정기준일까지 매수세가 증가해 주가가 오를 확률이 높다. 배정기준일부터 청약(납입)일까지는 팔자 물량이 쏟아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단 청약자격을 얻은 만큼 일부 투자자의 차익 실현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기간 회사측으로서는 실권을 막기 위해 주가를 띄우기 위한 호재성 공시를 내놓는 경우가 많다. 갑자기 경영진의 언론 인터뷰가 자주 나오거나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인 공시가 남발되는 때가 바로 이 즈음이다. 이런 경향을 역이용하면 쏠쏠한 수익도 낼 수 있다는 얘기다. 물론 사채 상환 등 자금 마련이 절실한 기업일수록 주가는 더욱 요동칠 가능성이 커 주의가 요구된다. 약간 형편이 나은 기업은 유상증자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주식발행 초과금을 재원으로 무상증자를 동시에 발표하기도 한다. 납입이 끝나고 주가가 발행되면 증자물량만큼 주가 부담은 커진다. 실제 신주가 매매되면 대개 거래량이 이전보다 크게 늘며 하락압력을 받는다. ◇기타 체크 포인트= 일반적으로 유상증자 규모가 자본금의 100% 이상일 때는 M&A 가능성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 대규모 증자는 대개 한계기업인 경우가 많고 최대주주가 뒤바뀔 수 있는 규모인 만큼 증자가 우회 등록 등 M&A 통로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적정한 자본금 규모를 매출액 대비 10%선으로 볼 때 영업이 아닌 증자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기업은 문제가 있다고 봐야 한다. 특히 할증발행은 향후 증시와 기업전망에 대한 웬만한 자신감이 아니면 단행하기가 어려운 만큼 섣부른 기대감보다는 ▦이익모멘텀 등 실적 ▦M&A 등 구조조정 ▦물량 인수자의 면면 등에 대해 꼼꼼?살펴야 한다. 만약 할증발행의 합당한 재료가 있다면 주가가 급등할 가능성도 크다. 최근에는 액면가로 사실상 할증 발행하는 한계기업이 적지않다. 액면가 이하로 증자를 하기 위해서는 법원의 인가 등 여러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돼 어쩔 수 없는 선택인 셈이다. 이상훈기자 shlee@sed.co.kr 입력시간 : 2004-09-01 16:5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