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 과학논문 '질적수준 미흡'

작년 피인용 횟수 30위 그쳐

한국이 한 해 발표된 과학논문 수에서 지난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세계 14위 자리를 지켰다. 반면 최근 5년간의 평균 논문 피인용 횟수는 30위에 불과해 아직 양에 비해 연구의 질적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지적됐다. 과학기술부는 2005년도 NSI(National Science Indicator)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 국내 논문 수가 2만3,048편으로 집계돼 2001년 15위(1만4,892개)에서 2002년 14위(1만5,863개)로 한 계단 오른 뒤 지난해까지 순위 변동이 없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해 1위는 미국으로 논문 수가 29만9,771개에 달했고 아시아권에서는 일본(3위ㆍ7만5,465개), 중국(5위ㆍ5만9,543개), 인도(12위ㆍ2만4,121개) 등 3개국이 한국을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IT) ‘대국’답게 국내의 정보기술 및 통신 분야 논문은 지난해 551개가 나와 이 부문 발간수 세계 3위였다. 이외에 분야별 상위권으로는 전기전자공학(4위ㆍ1,108개), 생물공학 및 응용미생물학(5위ㆍ337개)이었다. 반면 한국은 연구의 질을 판가름하는 논문 피인용 횟수에서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편당 평균 2.39회를 기록, 30위에 머물렀다. 지난해 논문 수 1위와 3위였던 미국과 일본은 피인용 횟수면에서 각각 3위와 18위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