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집값 상승폭 더 커졌다

4월 0.9% 올라 3·30 부동산대책·대출규제 무색

3ㆍ30부동산대책과 주택담보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집값 상승폭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양천구와 안양 동안구는 4.9%나 급등해 정부 대책을 무색하게 했다. 이에 따라 서울 광진구ㆍ성북구ㆍ관악구 등 전국 10개 시ㆍ구가 주택투기지역 후보지에 올랐다. 3일 국민은행이 내놓은 ‘4월 전국 주택 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4월 전국 집값은 0.9% 올라 한달 전(0.6%)보다 오름세가 더 가팔라졌다. 지역별로는 울산(1.7%)과 서울ㆍ경기(각 1.5%)가 오름세를 주도했고 충북(0.8%), 광주(0.7%), 인천(0.6%), 전북ㆍ경북ㆍ강원ㆍ대구(이상 0.3%), 충남(0.2%), 경남ㆍ대전(0.1%)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부산과 전남은 0.1%씩 내렸다.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판교 후광효과와 인근 재건축 이주수요 증가에 힘입은 안양 동안구와 학군 수요, 신정뉴타운 개발 등 호재를 안은 서울 양천구였다. 과천(4.2%), 강남(3.3%), 용산(3.2%), 서초ㆍ성남 중원(이상 3.1%), 분당(3%), 울산 중구(4%), 용인 수지(3.9%), 군포(3.5%) 등도 오름폭이 컸다. 주택투기지역 후보지는 서울 광진ㆍ노원ㆍ성북ㆍ관악, 인천 남ㆍ서, 광주 북, 경기 고양 덕양ㆍ하남, 전북 군산 등 10곳이다. 전셋값 상승률은 재건축 인근 지역이나 신혼 수요가 집중된 역세권을 제외하고 이사철이 마무리되면서 3월(0.7%)보다 둔화된 0.6%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울산 중구가 3.1% 올라 가장 상승률이 높았으며 군포(2.6%), 안양 만안(2.5%), 서울 강서(1.7%)ㆍ강남(1.4%)ㆍ영등포(1.4%) 등이 많이 뛰었다. 국민은행의 한 관계자는 “주택 가격 상승 기대심리에 따라 전반적으로 매수세가 늘었으나 3ㆍ30 이후 부동산대책의 영향 지역인 강남권은 매수세가 줄고 매도세가 증가, 전체적인 집값 안정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