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신세계 '3세 경영체제' 본격화

■정용진 부회장 경영전면에<br>여동생 정유경 상무도 부사장으로 승진<br>점포확장등 '글로벌 유통톱10' 주력할듯

(좌부터)구학서 회장, 박건현 대표, 최병렬 대표, 정일채 대표, 배재봉 대표

내년 창립 80주년을 맞는 신세계가 오너 3세 경영체제를 본격화한다. 이명희(66) 신세계 회장의 외아들로 지난 2006년 부회장에 오른 후 후계자로 경영수업을 받아왔던 정용진(41) 부회장이 이번 인사에서 대표직에 등재되면서 사실상 그룹 경영 전면에 나서게 됐기 때문이다. 정 부회장은 그동안 신세계 경영의 결재라인에서 비켜 있었지만 이번 총괄대표이사직을 맡음으로써 새로 선임된 박건현 백화점부문대표, 최병렬 이마트부문 대표와 함께 그룹 주력사인 신세계 경영을 책임지게 됐다. 정 부회장의 여동생인 정유경(37) 조선호텔 상무도 이번 인사에서 신세계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1999년 신세계 대표이사를 맡은 후 실질적으로 그룹을 이끌어온 구학서 부회장은 회장 승진 대신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다. 또 석강 백화점부문 대표는 6년의 임기를 마치고 향후 3년 동안 상임고문으로 활동하며 입사 동기인 이경상 이마트부문 대표도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 이 같은 대폭적인 물갈이로 신세계는 기존 전문경영인-오너로 이뤄진 투톱 시스템 경영체제에서 실질적인 오너 체제로의 전환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신세계의 한 관계자는 "정 부회장이 1995년 신세계에 입사한 후 15년 동안 경영수업을 받았으며 경영자로서 충분한 역량을 갖춘 것으로 판단되는 만큼 대주주의 책임경영체제 전환은 예정된 수순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신세계는 9월 말 현재 이명희 회장이 지분 17.3%를 보유하며 최대주주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 부회장(7.32%), 외국계 투자사인 퍼스트스테이트인베스트먼트(7.61%), 에버딘그룹(6.03%) 등이 대주주로 있다. 정 부회장은 어머니 이 회장 지분을 비롯해 정유경 부사장(2.52%), 구학서 부회장(0.26%) 등 특수관계인 지분이 28.07%에 달해 이번 인사를 통해 그룹 후계자 자리를 확실히 하면서 실질적으로 그룹을 이끌고 갈 것으로 예상된다. 구 부회장은 회장으로서 그룹 전반을 총괄하면서 정 부회장의 후견인 역할을 해 오너 경영체제를 뒷받침해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해외 유통업체들의 선진 경영기법에 꾸준한 관심을 보여왔던 정 부회장이 공격경영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실제 그는 2007년 말 심화된 대형 마트의 경쟁구도 속에서 이마트 자체브랜드(PL)를 내세워 제품 값을 절반으로 낮추는 획기적인 가격정책을 주도한 바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마트 경쟁력 강화와 함께 경쟁사인 롯데로 기울어지고 있는 해외사업의 주도권을 되찾는 행보에 나설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며 "어떤 방법으로든 오너십 경영의 성과를 거두고자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밖에 정 부회장이 수시로 언급한 '글로벌 유통 톱10' 진입을 위한 외형 확장을 위해 복합쇼핑몰 중심의 신규 점포와 신성장 업태 개발 등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