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알짜' 수원 서울 농대 부지 어디로?

"경인교대 부지와 맞 바꾸자" 경기도 요청에 재정부 '난색'<br>삼성은 '녹색주거단지' 제안 서울대·수원시 입장도 제각각


경기도가 도 소유인 경인교대 경기캠퍼스(안양 소재) 땅을 정부에 넘겨주는 대신 국유지인 수원의 옛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부지를 달라고 공식적으로 요청했다.

경기도는 이 땅을 받을 경우 이전 예정인 농촌진흥청 부지와 함께 농업ㆍ바이오연구개발(R&D)센터로 활용할 계획이다. 그러나 소관부처인 기획재정부가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데다 삼성물산은 녹색주거단지로 개발하겠다고 정부에 제안하는 등 '알짜 국유지'를 둘러싼 정부와 지자체ㆍ민간의 신경전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11일 경기도와 재정부 등에 따르면 도는 경인교대 경기캠퍼스의 도 소유 43만㎡의 부지 및 건물과 국유지인 수원 서울대 농생대 부지(27만㎡)를 맞교환하자고 정부에 요청했다.


경기도는 도 소유 땅에 국립대가 있어 학교발전에 제약이 되는 것은 물론 재산권 행사에도 문제가 있다고 판단, 이를 중앙정부에 넘기고 대신 정부가 가진 빈 땅인 서울대 농생대 부지를 받겠다는 속내다. 도는 공시지가 기준 경인교대의 토지ㆍ건물 가격이 1,569억원이고 서울대 농생대 가격이 1,800억원이라 맞교환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만약 서울대 땅과 교환되지 않을 경우 시화ㆍ화성의 2018년 완공 예정인 서해안 간척지라도 요구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관련기사



그러나 소관부처인 재정부는 이 같은 입장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농업용지 확보를 위한 중장기 국가계획 및 개발계획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재정부는 관악산 기슭에 있고 이미 대학이 들어서 개발 여지가 없는 땅과 개발가치가 무궁무진한 서울대 농생대 부지를 맞바꾸는 것은 경제적 논리에 맞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서울대 농생대 부지는 지난 2003년 캠퍼스가 관악으로 이전한 후 사실상 '버려진 땅'이었지만 맞붙어 있는 수원역 서쪽 부지에 롯데백화점에서 개발하는 복합쇼핑몰이 들어설 예정이라 향후 개발 여지가 큰 '알짜 땅'으로 손꼽힌다.

실제로 6월 자산관리공사가 주최한 국유지 아이디어 페어에서 삼성물산은 서울대 농생대 부지에 친환경 수목공원과 주거단지가 들어서는 녹색복합타운 건설을 제시했다. 재정부는 삼성물산의 아이디어에 견해를 밝히지 않았지만 공익적이든 금전적이든 활용방안을 극대화하는 쪽으로 포커스를 맞출 계획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서울대 농생대 부지는 국유지 활용이 제대로 되지 못한 대표적인 사례"라며 "향후 국유지 활용의 본보기가 될 만한 개발방안을 구상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서울대와 수원시의 입장도 제 각각이라 서울대 농생대 부지 활용은 향후 정부와 지자체ㆍ민간 간의 샅바싸움이 될 공산이 커졌다. 서울대 측은 이 땅에 대학이 활용할 수 있는 수목원을 조성하자고 주장하는 반면 수원시는 생태공원을 만들어 시민들에게 개방하자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