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고령화 시대를 대비하는 도시

1년 전 KDI 경제정보센터가 전문가를 대상으로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사회 문제’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고령화ㆍ저출산 문제가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이같이 우리에게 참으로 고마운 세대인 노인들이 많아진다는 것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인식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다름 아닌 고령화의 속도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고령사회 진입 기간이 18년(2000~2018)밖에 걸리지 않을 것으로 전망(비전2030)되고 있다. 이런 속도의 고령화는 노인복지 수요의 급증, 성장속도 둔화 등 우리 사회 전반에 커다란 파장을 불러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고령화는 대부분의 국민이 살고 있는 도시환경의 변화를 요청한다. 어느 정도 자산은 있지만 소득이 일정하지 않은 노인들이 많아진다는 것은 핵가족의 확산과 세대 수 감소를 의미하므로 소규모 주택을 늘릴 필요가 있다. 또한 노인들이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는 문화복지시설과 몸이 아플 때 치료받을 수 있는 의료시설 등을 확충해야 한다. 일본의 경우 신도시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가 소비감소 및 생산인력 부족 등으로 이어지면서 도시 경제가 침체에 빠지고 기업이 떠나가는 일이 발생해 큰 사회 문제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삶을 담아내는 그릇과도 같은 도시공간이 고령화되는 사회상을 미리 대비하고 반영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21세기의 세계적인 모범도시를 지향하고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는 우리나라의 초고령화 사회를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 우선 행정도시에서는 전체 주택의 75.2%를 중형(60~100㎡) 및 소형 주택(60㎡ 이하)으로 건설해 노인들에게 적합한 소규모 주택을 충분히 제공한다. 연면적 2,500㎡ 이상의 노인복지시설도 도시 내 21개 생활권마다 설치된다. 노인성 질병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노인전문 병원 등도 이미 도시 내에서 환경이 가장 우수한 곳에 입지를 확보해둔 상태다. 특히, 행정도시는 도시를 순환하는 대중교통 중심도로와 기초생활권을 연결하는 생활형가로를 장애 없는 보행 네트워크로 구축한다. 이렇게 되면 노약자들이 아무런 어려움 없이 도시 내 각종 시설들을 이용할 수 있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행정도시가 노인들을 포함한 다양한 세대의 삶을 담아낼 수 있는 ‘모두를 위한 도시’, 또 글자 그대로 ‘행복한 도시’로 건설될 수 있으리라 기대해도 좋을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