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中, 휴대전화 라이선스 취득요건 발표

국내업체, 중국시장 공략 기대

중국 정부가 휴대전화 단말기 생산·판매를 위한라이선스(入網權) 제도를 대폭 완화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주말 라이선스 취득 요건을 공개한 것으로 전해졌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휴대전화 및 통신장비 업체들에 대한 라이선스 심사권한을 기존의 중국 신식산업부(정보통신부)에서 넘겨받은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지난주 자체 웹사이트를 통해 라이선스를 받기 위한 구체적인 요건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휴대전화 제조업체의 경우 최소 2억위안(미화 약 2천400만달러),통신장비업체는 3억위안(약 3천600만달러)의 자본을 예치해야 한다. 또 라이선스 발급 신청업체들은 3년 이상의 연구·개발(R&D), 생산, 판매 경험이 있어야 하며 재무건전성과 판매후 안전시스템 수립능력도 입증해야 한다. 중국 정부가 엄격한 라이선스 제도를 이처럼 형식승인 방식의 '허준즈(核准制:핵준제)'로 전환함에 따라 라이선스를 보유한 회사로부터 브랜드를 빌려 생산과 판매를 하는 중국의 소위 '톄마이(貼牌:첩폐)' 휴대전화업체들과 외국 업체들이 중국시장에 대거 신규 진입하는 등 중국 시장의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현재는 30여개 업체만이 CDMA(코드분할다중접속)와 GSM(유럽통화방식) 라이선스49장을 갖고 있다. 특히 한국 휴대전화 '빅 3'중 중국 GSM 리이선스가 없는 LG전자와 팬택, 그리고 올해 중국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인 SK텔레텍 등 국내업체들도 중국시장 공략을 위한 준비를 서두르고 있으며 그동안 중국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던 국내 중소업체들은 사업다각화와 수출선 다변화 가능성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 중국 휴대전화 시장의 방식별 비중은 7대1 정도로 GSM이 CDMA를 압도하고 있다 중국의 휴대전화 가입자는 2003년 6천500만명에서 지난해 3억3천400만명으로 급증했으며 올해는 4억200만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또 지난해 중국내 휴대전화 생산은 3억8천600만대로 이중 1억4천600만대가 해외로 수출됐다. (서울=연합뉴스) 김경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