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R&D 예산 "개발·기업지원 확대를"

기초·응용분야 지원… 선진국선 축소 추세

R&D 예산 "개발·기업지원 확대를" 기초·응용분야 지원… 선진국선 축소 추세 선진국들이 '기초ㆍ응용'연구 분야보다는 기업 지원을 위한 '개발' 연구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있어 한국 정부도 이 같은 세계적 추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3일 산업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이 미국ㆍ일본 등 주요 국가의 예산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 국가가 올해 연구개발(R&D) 예산을 큰 폭으로 늘리면서 개발 부문을 상대적으로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R&D 예산 증가율이 8.1%로 전체 예산 증가율보다 0.63%포인트 높았다. 일본의 총예산은 지난해에 비해 0.1% 증가에 그친 반면 R&D는 이보다 8배 높은 0.8%에 달했다. 핀란드 R&D 예산도 6.4% 늘어나 총예산 증가율(4.8%)을 훨씬 웃돌았다. 연구단계별 R&D 투자에서는 원천기술 확보에 중점을 둔 '기초ㆍ응용' 연구보다는 상품화 및 기업지원을 위한 '개발' 예산이 대폭 확대됐다. 미국의 경우 개발 분야의 증가율이 9.7%을 기록, 기초 분야 3.1% 및 응용 분야 0%를 큰 폭으로 앞섰다. 핀란드도 기업경쟁력 강화를 명목으로 기업 부문 투자를 지난 91년 57.5%에서 지난해 69.5%로 늘였으나 같은 시기 공공 부문(20.9%에서 10.7%로)과 대학 부문(22.1%에서 19.8%)의 비중은 줄였다. 산자부는 "선진국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R&D 투자가 필요하다"며 "특히 개발부문 및 기업지원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가 기초 연구예산 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려 전체 R& D예산의 4분의1까지 확대한다는 정부의 중장기 계획과 배치되고 있어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통해 R&D 예산을 조정ㆍ심의하고 있는 과학기술부는 2007년을 목표로 R&D예산을 총예산의 7%까지, 전체 R&D예산의 20.4%인 올해 기초 연구예산 비중을 25%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을 정했었다. 김용환 과기부 기획조정심의관은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 연구개발이나 관련 인력, 인프라 구축에 예산을 집중 투입해나가겠다는 것이 정부의 일관된 방침"이라고 말했다. 최수문 기자 chsm@sed.co.kr 입력시간 : 2004-06-13 17:22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