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지금의 위기설 진앙지가 대외요인인 만큼 경기회복의 주춧돌인 수출에 악재가 되지 않도록 관련 대응책 마련에 힘쓰는 한편 정부가 어떤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줄 것을 당부했다.
20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하반기 들어 "경기회복의 기운이 돈다(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는 판단 아래 추가 경기부양책을 통해 상승탄력을 받으려 했다. 실제로 경기지표들이 하반기 들어 조금씩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었다. 하지만 '9월 위기설'이 불거지면서 이 같은 흐름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보고 긴장의 고삐를 당기고 있다.
일단 전문가들은 경제 전반의 흐름을 꺾을 정도는 아니라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신창목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미국 당국자들이 극약처방까지 무릅쓰면서 살린 경기를 갑작스런 출구전략으로 죽이려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을 걱정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다만 아시아 일부 신흥국을 통한 위기의 확산은 경계해야 할 대상으로 꼽혔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임희정 박사는 "인도나 태국 등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신흥국에 유입됐던 외국인 투자자금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나 출구전략 실행시 빠져나갈 가능성은 있다"며 "이것이 신흥국 등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출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정부는 이에 따라 위기가 만에 하나 현실화할 경우 국내에 파급될 영향을 정밀분석하고 사전에 충분한 대응 시나리오를 짤 방침이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신흥국발 위기가 터진다면 어떤 경로로 국내에 전염될 수 있을지에 대한 스트레스테스트를 하고 대응을 위한 일종의 도상연습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임 박사는 "경제 선순환의 고리가 소비에서든 투자에서든 촉발될 수 있도록 정부가 과감한 정책을 준비해야 할 필요도 있다"며 "특히 소비를 억누르는 가계빚 문제를 풀기 위해 부채탈출이 어려운 한계계층에게는 빚을 탕감해주는 특단의 사면책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신 연구원은 "정부가 추진해온 경기부양책이 하반기에 약효가 떨어지거나 제대로 추진이 안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만큼 기존 대책의 집행에 속도를 내서 경제주체들의 심리적 불신을 풀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