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MB "법 무시한 거리 정치 많다"

'5·18민주화운동 30주년 기념사'서 밝혀

정몽준(왼쪽) 한나라당, 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5·18 민주항쟁 30주년을 맞은 18일 광주 망월동 국립 5·18묘역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귀엣말을 나누고 있다. 광주=고영권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18일 "(아직까지) 민주주의 출발점인 생산적 대화와 토론이 뿌리내리지 못했으며 법을 무시한 거리의 정치와 무책임한 포퓰리즘에 기대는 일이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광주 국립 5ㆍ18민주묘지에서 거행된 '5ㆍ18민주화운동 30주년 기념식'에서 정운찬 국무총리가 대독한 기념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중도실용주의는 시대에 뒤떨어진 이념의 굴레를 벗고 우리가 당면한 현실로부터 출발해 열린 눈으로 세계를 보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중도실용주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생산적인 대화를 나누고 견해와 이해관계가 다소 달라도 국가와 국민의 입장에 서서 대승적 타협을 이루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것이 5ㆍ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ㆍ발전시키는 길"이라며 "이것이 잘사는 국민과 따뜻한 사회, 강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선진일류국가의 초석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이 대통령은 최근 현실정치의 폐해를 겨냥한 듯 "많은 분열과 대립이 한국 민주주의의 성숙을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하며 "남북 분단으로 숱한 비극을 겪었으면서도 지역과 계층ㆍ이념 등에 따라 또다시 완고한 분단의 벽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민주 영령의 넋을 기리고 "높은 자긍심으로 고난의 세월을 이겨온 유공자와 부상자, 그리고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머리를 숙였다. 이어 이 대통령은 "민주화는 산업화에도 정당한 명예를 찾아줬다"며 "민주화 없는 산업화만으로는 세계에 당당히 설 수 있는 품격 높은 국가가 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에는 정몽준 한나라당, 정세균 민주당 대표 등 여야 지도부 60여명가량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