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방사능 관련 악성 루머 철저히 단속해야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폭발과 화재가 잇따르며 '방사능 공포'가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 악성 루머가 퍼지고 있어 근거 없는 불안감이 확산되지 않을지 걱정이다. 도쿄 부근까지 방사선 수치가 정상의 40배까지 치솟는 등 위험이 높아지자 일본을 빠져나가는 외국인의 '엑소더스'가 줄을 잇고 일본여행을 자제하라는 경고도 뒤따르고 있다. 이처럼 일본 내 사정이 악화되면서 국내에서도 인터넷 등에 "곧 방사성 물질이 상륙한다"는 등 근거 없는 괴담이 나돌아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현재로는 누출된 방사성 물질이 한국까지 날아올 가능성이 거의 없고 가능하다 해도 오는 동안 희석돼 인체에 영향이 없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그러나 후쿠시마 제1원전의 원자로 6기 가운데 가동 중이던 3기는 물론 점검 중이던 원자로까지 폭발하거나 화재가 발생해 누출 방사선 수치가 급증할 경우 국내에서도 방사능 공포가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프랑스 원자력위원회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최악 수준인 7등급에 가까운 6등급으로 분류했다. 방사선은 우주에서 오기도 해 인간은 항상 이에 노출돼 있지만 양이 미미해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 그러나 피폭량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암 발생 등 치명적인 피해를 입게 된다. 사상 최악의 대지진과 쓰나미에도 그토록 침착했던 일본 사고지역 주민들이 허둥지둥 삶의 터전을 등지고 있는 것도 방사선 때문이다. 방사성 물질은 바람을 타고 광범위한 지역으로 퍼지는데다 방지수단도 마땅치 않고 피해복구에도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 문제다. 한국까지 방사성 물질이 올 가능성이 없다고 해도 원전 안전강화 및 방사선 수치의 상시 체크 등 대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 근거 없는 악성 루머가 나돌지 않도록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불온한 의도를 가진 악성 루머의 폐해는 '광우병 파동' '천안함 사건' 등에서 뼈저리게 경험한 바 있다. 악성 루머 유포자 등은 끝까지 추적해 처벌하는 것이 마땅하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제1원전의 '노심용해'를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사태의 장기화가 우려된다.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어려운 일본 원전사고 정보 등을 신속 정확하게 알려 국민이 근거 없는 루머 등에 현혹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