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연합회] 대출자 거주지.직업도 금리반영

앞으로는 본인의 신용도뿐 아니라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이나 직업에 대한 사회적 신용도도 대출금리 산정에 반영된다. 이에 따라 거주지역이나 소속된 업종의 평균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때는 대출받을 때 높은 가산금리를 물어야 한다.은행연합회 관계자는 26일 거주지역·직업·업종·연령별 신용지수를 계량화해 특정개인이 신용대출을 받을 때 은행에서 원용할 수 있는 「신용불량지수(DELINQUENCY RATE)」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이같은 제도를 실시 중이나 국내에서 일종의 사회적 지수를 계량화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은행연합회는 이 제도를 이르면 연내에 시행하기로 하고 현재 신용불량지수 개발을 위해 전산개발·운영팀과 데이터베이스(DB) 자료 구축작업을 벌이고 있다. 연합회가 개발을 추진 중인 신용불량지수는 과거 수년 동안 신용불량자 리스트에 오른 사람들의 직업과 연령·거주지역 등을 각각 점수화(계량화)하는 것. 예를 들어 특정개인의 거주지역에서 다른 지역보다 과거에 불량자가 많이 생겼다면 그만큼 불량지수가 높아져 소속된 개인도 그만큼 다른지역 사람들보다 상대적으로 금리 등에서 불이익을 받게 된다. 연합회 관계자는 『이 제도는 쉽게 말해 보험회사에서 가입자의 연령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화하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직업의 경우에는 세부직업보다는 「사무직」 등의 포괄개념만을 이용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회 관계자는 『연대보증제를 폐지하고 신용대출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이 제도의 정착이 필수적』이라며 『미국에서도 이미 미국은행연합회에서 불량지수를 통합·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회가 신용불량지수를 개발, 본격 추진하면 대출자들의 반발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본인의 신용도가 아무리 좋아도 소속지역이나 업종의 신용이 나쁘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연합회는 이에 따라 일단 불량지수를 개발하고 실시여부는 은행별로 자체적인 실정에 따라 결정하도록 할 방침이다. /김영기 기자 YGKIM@SED.CO.KR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