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베트남 진출기업 노무관리 신중하게"

국제 노동재단 설명회

국내기업이 대거 진출하고 있는 중국ㆍ베트남 지역 노동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어 현지 진출기업의 인사ㆍ노무관리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국제노동재단(이사장 박인상)이 18일 경총회관에서 개최한 ‘최근 중국 및 베트남의 경제ㆍ투자환경과 노무관리전략’ 설명회에서 구성진 대한상의 이사는 “최근 중국에서는 단체협상제도를 도입하는 기업이 급증하고 있고 공회(노조) 설립요건 완화와 동시에 기능과 권한을 대폭 확대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이 이뤄졌다”고 발표했다. 그는 또 “중국 총공회는 외국인투자기업ㆍ사영기업 등 신설기업을 주요 타깃으로 ‘모든 기업에 공회조직 설립’을 목표로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며 “중국 진출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중국 전국총공회는 지난달 삼성ㆍ월마트ㆍ코닥 등 다국적기업에 공회설립을 방해할 경우 제소하겠다고 압박을 가하기도 했다. 따오 꽁하이 주한 베트남대사관 노무실 실장은 “지난 2002년 말 베트남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의 노사분쟁 가운데 한국기업이 40%를 차지하고 있다”면서 “진출기업들이 영세한데다 베트남의 문화와 법제를 잘 모르고 노동법 규정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표적인 위법사례로 최저임금법 위반, 근로자와 상의 없는 연장근로, 시간외근무수당 미지급 등을 소개했다. 한편 한국국제노동재단은 해외 진출기업의 노사협력 증진과 효율적인 노무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다음달 중국(13일)과 필리핀(17일)에서 현지 노ㆍ사ㆍ정 관계자들과 공동으로 노사관계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