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안전하지 못한 은행?

최인철 기자 <금융부>

[기자의 눈] 안전하지 못한 은행? 최인철 기자 michel@sed.co.kr 은행하면 떠오르는 게 안전성이다. 다른 어떤 금융기관보다 편하게 고객의 돈을 맡길 수 있다는 게 은행의 대표적인 이미지다. 불행하게도 국내 시중은행의 경우는 최근 안전성과 거리가 멀어 보인다. 이달 초에 발생한 모 은행의 인터넷뱅킹 사고는 은행을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줬다. 인터넷뱅킹 이용자 1,000만명시대에 세계 최고의 인터넷 이용 국가라는 명예가 되레 멍에로 다가서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해외 금융업계에서 인터넷뱅킹 사고라고 하면 금융기관 메인 서버에 대한 해킹 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이번 국내 사고는 해킹 가운데서도 가장 저급한 수준의 키보드 입력내용에 대한 해킹이라는 초보적 형태에서 뚫렸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기업은행ㆍ우리은행ㆍ외환은행 등 국내 시중은행들은 지난해부터 일제히 새로운 전산시스템을 도입했다고 자랑했다. 이외에도 대다수 은행들은 수백억원에서 수천억원에 이르는 막대한 돈을 써가며 전산시스템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대규모 투자에도 불구하고 조그만 구멍으로 인해 고객정보 보안에 치명적인 신뢰도를 잃고 있다는 데 있다. 정부의 대책도 한심하다. 지난주에 있었던 재정경제부의 국회 재경위원회 업무보고는 이를 반증한다. 최경환 한나라당 의원은 “C은행 400억원대 횡령 사고의 경우 직원이 거래를 주로 했던 이트레이드증권에서 금융정보분석원(FIU)에 혐의보고를 한 바 있으나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당시 FIU 원장이던 김석동 현 재경부 차관과 재경부의 입장은 계좌추적권 등 조사할 권한이 없다는 이유를 내세웠다. 사고가 발생해 신고를 받아도 그것을 해결하거나 정리할 책임은 없다는 얘기나 다름없다. 아울러 정부 스스로 존재 이유를 부정한 것이다. 정보통신부ㆍ금융감독위원회 등 정부 기관들이 대거 모여 전자금융거래에 대한 법규정을 만들고 있다. 우선 전자금융거래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 은행 등 금융기관에 책임 여부를 물을 방침이다. 믿고 맡길 수 있는 ‘은행’의 이미지를 다시 찾아주길 간절히 기대한다. 입력시간 : 2005/06/20 17:4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