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과기부 "열화우라늄탄 탄두개발은 핵개발과 무관"

"IAEA 사전신고ㆍ미국과 협의하에 진행"

과학기술부는 21일 한국원자력연구소의 열화우라늄 탄두용 금속우라늄 개발과 관련,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대한 사전 신고와 미국측과의 협의를 거쳐 진행된 것"이라면서 "이는 핵무기 개발과는 무관하며 최근의핵물질 실험과도 전혀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과기부는 당시 열화우라늄을 미국으로부터 방사선 차폐용으로 수입하면서 IAEA에 신고했으며 이 열화우라늄을 금속우라늄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IAEA에 사찰면제를신청해 1987년 사찰면제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한미 원자력협정 당사국인 미국과도 협의하에 이 프로젝트가 진행됐고, 특히 1989년에는 미국측과의 협의를 거쳐 미국 대사관의 입회하에 금속우라늄 시제품을 파기했다고 과기부는 밝혔다. 당시 금속우라늄 개발과제 책임자였던 원자력연구소의 국일현 박사는 "당시의프로젝트는 핵무기 개발이 아니다"면서 "이것이 이제와서 왜 문제가 되는 지 이해할수 없다"고 말했다. 국 박사는 "당시 프로젝트는 국방과학연구소의 용역을 받아 진행됐으며 산업화할 필요가 없어 미국측의 협의하에 파기된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국방도 할 수 없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특히 환경오염 등의 우려에 대해서 "열화우라늄의 탄두는 공중에서 분산되지 않고 폭발하지도 않으며 비중이 18.2로 아주 단단하고 밀도가 높아 목표지점에서 그대로 고정된 채 박혀있기 때문에 쉽게 수거할 수 있다"면서 "환경오염 우려도 없다"고말했다. 당시 과제에 참여했던 김창규 박사도 "열화우라늄으로 만들어진 탄두는 열화우라늄에 티타늄을 합쳐 만든 합금으로 마치 화살촉처럼 비중과 밀도가 높아 관통력을높인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과기부 조청원 국장은 "IAEA는 핵물질의 이동이나 변환 등을 관리하는 국제기구로 핵무기 외에 군사용 무기 개발 등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는다"면서 "따라서 당시 프로젝트는 IAEA와 큰 관계가 없고 미국과는 협의속이 이뤄졌다"고 해명했다. 조 국장은 핵물질에 대한 규제를 엄격히 하고 투명하게 한다는 확고한 정부방침에 따라 원자력통제기술센터(TCNC)를 오는 25일 원자력연구소에서 원자력안전기술원의 부설기관으로 분리, 개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