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담배,'습관성 독극물'로 분류해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우리나라 남성 흡연율을 획기적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으로 담배를 습관성 독극물로 분류, 퇴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박재갑 국립암센터 원장은 이 센터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공동으로 17일 서울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한 `건강증진 및 금연심포지엄 2001'에서 `중장기 금연대책'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박 원장은 이 주제발표에서 "흡연으로부터 국민건강을 보호하려면 우선적으로담배를 추방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시적 금연대책이 아닌 10-20년에 걸친 국가차원의 중장기 금연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이를 위해 1단계로 사회 지도층이 솔선수범해 학교와 병원을 전면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은 물론 건강증진법에 따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코티닌(니코틴 대사물)소변검사를 실시, 흡연 청소년을 특별선도하고, TV 등에서 흡연장면 방영을 금지토록 건강증진법을 보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2단계로 학교에서의 청소년 금연교육을 의무화하는 한편 군부대내 금연교육과 금연클리닉을 지원하며, 병의원 금연클리닉 활성화를 통해 금연치료에 대해 보험을 인정하는 것은 물론 건강증진기금을 흡연자의 암 조기진단과 금연치료에 상당부분 투입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현재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국내 담배가격을 앞으로 500원 내지1천원씩 단계적으로 인상, 향후 10년안에 국제수준으로 끌어 올려야 한다고 김 원장은 덧붙였다. 김 원장은 마지막 3단계로 10-20년에 걸친 이같은 금연대책을 통해 흡연률이 상당히 떨어지면 담배를 아예 습관성 독극물로 분류, 퇴출시키고 담배를 흡연자의 치료를 위해 의료기관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