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김석동 금융위원장 "금융시장 안정, 창업·中企지원, 헤지펀드 육성"

글로벌위기 선제 대응, 내년 3대 어젠다 제시


"금융시장을 사수하고 창업ㆍ중소기업의 금융 문제 해법을 내놓겠습니다." 김석동(사진) 금융위원장이 내년 금융정책의 중점 과제로 금융시장 안정과 창업ㆍ중소기업 금융시스템 개혁, 헤지펀드 육성 등을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27일 금융위 출입기자단 송년모임에서 "여러분이 상상하는 것보다 경제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할 일은 금융시장 인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어떤 희생과 노력을 감수하더라도 시장 안정을 위한 모든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지나치고 과도하다는 느낌이 들 정도의 대책도 불사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앞으로 증시, 외환, 국내 자금시장에 어떤 문제가 생기더라도 좌시하는 일이 없을 것이고 금융시장 안정이라는 전선에서 한발짝도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며 글로벌 재정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겠다는 뜻을 거듭 피력했다. 김 위원장은 또 내년 경기둔화에 대응해 창업ㆍ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애로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금융시장 안정이 방어전이라면 창업ㆍ중소기업 금융지원은 공격전"이라며 "중소기업 금융환경 개선에 대해 확실한 답을 내놓을 것"이라고 했다. 특히 연대보증 폐지에 대해서는 "(주위에서) '안 될 것을 왜 나서느냐'고 하는데 두고 보라"며 "지금까지 (문제점에 대해) 알면서도 못한 것을 처음으로 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금융위가 어떻게 하는지, 신용대출을 어떻게 하는지 지켜보라. 창업ㆍ중소기업 경영환경에 혁명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도 했다. 최근 출범한 한국형 헤지펀드에 대해서는 "헤지펀드는 예금금리보다 높은 연 6~8%의 수익률을 추구하기 위해 이곳저곳 돈 굴릴 곳을 찾아 머리를 쓴다"며 헤지펀드를 '헤드(head)펀드'에 비유했다. '헤지펀드 규모가 예상보다 작다'는 지적에는 '작게 낳아 크게 키우라'는 일본 속담을 인용하면서 "헤지펀드 분야에 최고의 금융 전문가들이 모이면 급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삼성 계열이 (헤지펀드에) 300억원을 넣을 것이고 연초에 기금 등에서도 자금을 투자할 것"이라며 "일부 플레이어의 배만 불릴 수 있다는 지적이 있는데 성과와 연동시킨 만큼 큰 걱정은 않는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