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사흘에 한번 꼴 전력예비율 10% 미만…‘블랙아웃’ 우려 고조

위조부품 파동으로 일부 원전 가동중단…‘엎친데 덮친격’

올해 들어 사흘에 한 번꼴로 전력예비율이 10%를 밑돌아 전력예비율 10% 미만 일수가 벌써 2011년 한해 전체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일부 원자력발전소 가동까지 중단돼 여름철 전력수요가 급증하면 대규모 정전사태인 ‘블랙아웃’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30일 전력통계정보시스템과 KB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28일까지 148일 가운데 전력예비율이 10% 아래로 떨어진 것은 36.5%인 54일에 달했다. 사흘에 한 번꼴이다.

전력예비율은 돌발사고 등에 대비해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유지하도록 비축한 예비전력 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통상 10%선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예비율이 10%를 밑돈 일수는 2007년 8일, 2008년 12일, 2009년 9일에서 2010년에 46일로 급등했고 2011년 51일에 이어 작년에 다시 129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올해 들어 전력예비율 10% 미만 일수는 작년 같은 기간(40일)보다 35.0%나 많은 것이다. 여유 전력 부족 현상이 작년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라는 뜻이다.

보통 전력수요는 5월부터 급증해 7∼8월 여름철 최고조에 달한다. 그러나 올해는 이미 4월부터 이런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전력예비율이 10%를 밑돈 날이 1월 12일, 2월 9일, 3월 3일로 하향 곡선을 그리다가 4월 16일로 급증하고 5월(∼28일)에는 14일에 달했다. 올해 연중 최저치는 1월 3일의 5.5%다.


작년에는 1월 9일, 2월 9일, 3월 9일에서 4월에는 2일에 그쳤고 5월은 11일이었다.

관련기사



여유 전력이 부족한 것은 그만큼 전력 수요가 많고 공급은 적기 때문이다. 때 이른 더위로 5월에는 기온이 30도를 웃돌기도 했다.

아직 여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위조부품 파동으로 일부 원전까지 가동이 중단돼 그 어느 때보다 우려가 크다. 한꺼번에 많은 양의 전력이 소비되면 갑자기 전기가 끊어질 수 있다.

기상청은 6월 이후로도 평년기온보다 높은 고온현상이 가을까지 지속할 것으로 예보한 상태다.

작년 전력예비율이 가장 낮은 것은 한여름인 8월 6일로 3.8%까지 떨어진 바 있다.

올해 여름에는 인위적으로 줄여야 하는 전력 수요가 더 많아질 것으로 보여 무더위와의 전쟁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기업체를 중심으로 휴가분산, 조업조정 등을 강력히 시행하고 에너지 과소비 단속을 강화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김지원 KB투자증권 연구원은 “문제를 해결하려면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수요를 줄여야 하는데 지금 당장 원전 추가 가동도 어렵고 공급을 늘리긴 쉽지 않다”며 “스마트그리드를 통한 수요 조절이 해결책일 것”이라고 말했다.

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해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이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