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원자재시장] WTI 1.67% 상승…101.34弗

27일(현지시간) 국제유가는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위협으로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는 지난주 종가보다 1.66달러(1.67%) 오른 배럴당 101.3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로써 WTI는 6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런던 ICE선물시장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전날보다 1.05달러(0.97%) 오른 배럴당 109.01달러에서 움직였다. 유럽연합(EU)이 핵개발 문제를 들어 이란을 추가 제재키로 한 가운데 모하마드 레자 라히미 이란 부통령은 “만약 이란 석유에 대한 제재조치가 채택될 경우 한 방울의 원유도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호르무즈 해협은 사우디 아라비아와 이란,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이라크 등에서 생산된 원유가 수송되는 전략 요충지다. 세계 유조선의 3분의 1 이상이 지나가는 이 해협이 차단되면 글로벌 원유 수급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질 수 밖에 없다. 중동산 원유의 공급을 위협하는 요소는 이란 뿐이 아니다. 이라크에서도 최근 분쟁이 잇따르면서 석유공급 차질이 우려된다. 또 시리아는 반정부 시위 탄압에 대한 서방권의 제재로 원유 생산량이 3분의 2 정도로 줄었다고 최근 밝힌 바 있다. 사우디 아라비아는 이란산 원유에 대한 제재조치로 발생하는 부족분은 자국에서 보충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경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유럽 국가들도 아직은 이란 원유에 대한 수출 금지령을 공식 발동하지는 않고 있다. 세계 최대 석유 소비국인 미국의 소비자 신뢰지수가 개선된 것도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금값은 미국 경제지표의 호조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지면서 나흘째 하락했다. 내년 2월물 금은 지난주 종가보다 10.50달러(0.7%) 떨어진 온스당 1,595.5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종가 기준으로 지난 15일 이후 최저치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