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터뷰] 이석영 무협 상근부회장

“전자무역은 21세기에 우리나라 무역이 미국ㆍ일본 등 선진국과 중국 등의 개도국 사이에서 넛 크래커 당할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입니다” 한국무역협회가 추진하고 있는 전자무역시스템 구축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이석영 무역협회 상근부회장은 25일“IT혁명과 글로벌네트워크 확산에 의한 새로운 무역 패러다임에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전자무역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부회장은 “우리나라가 오는 2010년 세계 8대 무역국으로 성장하고 동북아 경제 중심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오는 2005년 전자무역의 시행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조속한 시일 내에 국무총리 직속의 전자무역추진위원회가 출범, 국가적 과제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예컨대 무역실무를 맡고 있는 산자부 이외에도 정통부는 전자인증시스템을 마련하고 건교부나 해수부는 물류 관련 인프라 구축, 환경부ㆍ농림부ㆍ복지부ㆍ과기부는 인터넷을 통한 수출입요건 확인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며 “모든 부처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야만 계획대로 오는 2005년 전자무역 시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전자무역 시행을 위해서는 39개 관련법의 정비가 선행돼야 하는 등 지난 92년이후 민간위주로 추진됐던 전자무역시스템이 제대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발빠른 움직임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부회장은 또 “전자무역은 시스템 개발 초기에 다른 나라와 경쟁과 협조를 동시에 해야 하는 만큼 정부 차원의 특사단을 구성해 선진국에 파견해야 한다”며 “영국은 이미 98년부터 전자무역 추진 담당차관을 임명하고 특사단을 구성해 세계 각국의 전자무역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회장은 “오는 2005년 성공적으로 전자무역이 시행된다면 우리나라가 동북아 경제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만큼 범국가적으로 전자무역에 대한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동수기자 bestg@sed.co.kr>

관련기사



한동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