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방-광역상수도 39곳 중복건설

지방-광역상수도 39곳 중복건설 지방상수도와 광역상수도 시설이 중복적으로 건설되면서 지방자치단체가 거액을 들여 만든 지방상수도 시설을 아예 폐지하거나 가동을 중단하는 사례가 급증해 예산낭비는 물론 수자원 고갈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환경부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제출한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지방상수도 시설이 설치돼 있는 곳에 광역상수도 시설이 겹치기로 들어서면서 지방상수도 시설이 속속 폐지되거나 가동이 중단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방-광역상수도 시설이 중복 건설된 곳은 모두 39곳으로, 이 지역의 지방상수도 시설은 80년대 중반부터 시설노후 및 수질불량, 취수량 부족 등의 이유로 폐쇄되거나 가동이 중단됐다. 특히 90년대 후반부터는 폐지 또는 가동중단 건수가 급증하기 시작해 97년 5개, 98년 7개, 99년 10개로 크게 늘어났다. 올들어서는 충남 보령 대청정수장 (시설용량 하루 1만톤)등 3개 상수도 시설의 가동이 중단됐다. 가동이 중단된 지방상수도 시설을 지역별로 보면 경기 11개, 전북 10개, 전남과 경남 각 5개, 경북과 충남 각 3개, 충북 2개 등이다. 지방상수도 시설을 건설하는데는 톤당 평균 200만원의 비용이 소요된다. 이같은 현상은 광역상수도 시설은 건교부 산하 수자원공사가, 지방상수도 시설은 지자체가 환경부의 협의를 거쳐 각각 추진하도록 돼 있는 이원화된 구조에서 비롯된 것으로, 지자체에서는 지방상수도가 광역상수도 시설에 비해 수질이 떨어지고 관리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운영자체를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철수기자 입력시간 2000/10/05 16:50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