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신·재생에너지 책임진다] 한전·5대 발전회사 2008년까지 1兆 투자

태양광·풍력·연료전지등 3대 분야에 역량 집중<BR>기술개발·설비구축 나서




[신·재생에너지 책임진다] 한전·5대 발전회사 2008년까지 1兆 투자 태양광·풍력·연료전지등 3대 분야에 역량 집중기술개발·설비구축 나서 손철 기자 runiron@sed.co.kr 관련기사 • 한국전력공사, R&D투자·해외 CDM사업 적극 • 울릉도 풍력발전 ‘다시 힘차게 돌린다’ • 한국서부발전, 해양소수력 설비 내년 준공 • 한국중부발전, 민자 제휴·新사업발굴 중점 • 한국동서발전, 최대 조류발전소 박차 • 한국남부발전, 제주에 풍력단지 추가 조성 • 한국남동발전, 수소·연료전지 특화에 주력 고유가와 기후변화협약의 여파로 신ㆍ재생에너지 보급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전력 그룹이 이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하며 길을 닦고 있다. 아직까지는 경제성이 담보되지 못해 민간기업의 참여가 저조한 신ㆍ재생에너지 사업에서 대표적 공기업인 한전 및 5대 발전사들이 2008년까지 향후 3년간 1조원 가량의 투자계획을 밝히며 신ㆍ재생 에너지 사업에 불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국내 온실가스 배출의 4분의1을 차지하는 발전부문이 친환경과 지속가능경영에 앞장서겠다는 의미도 포함돼 있다. ◇ 한전그룹, 2005년은 신ㆍ재생 에너지 사업의 원년 = 지난해부터 불어 닥친 고유가 파고와 지난 2월 기후변화협약의 부속협정인 교토의정서가 발효되면서 한전그룹은 신ㆍ재생에너지 전담조직을 잇따라 설립했다. 지난 2월 맏형인 한전이 기술기획실을 신설했으며 전력연구원도 조직을 개편해 신ㆍ재생에너지 그룹을 만들었다. 또 남부, 중부, 서부, 동서발전 등이 5~6명으로 구성된 신ㆍ재생에너지팀을 발족했으며 남동발전 역시 신ㆍ재생 사업을 주로 담당할 사업개발팀을 꾸렸다. 원자력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수력원자력 또한 신ㆍ재생에너지실을 설치했다. 한전의 한 관계자는 “2005년이 신ㆍ재생에너지 사업에 있어 한전이나 발전사 모두에게 원년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실제 수력과 소수력발전을 제외한 한전 그룹사의 신ㆍ재생에너지 사업은 지난해 말 현재 남부발전의 한경풍력 6,000kw와 서부발전의 태양광 120kWp에 불과할 정도로 미미한 실정이다. 실무조직을 꾸린 한전그룹은 그러나 거대한 사업규모와 튼튼한 재정, 전력사업의 경험 등을 바탕으로 과감한 투자계획을 세워 단숨에 신ㆍ재생에너지 분야의 강자로 발돋움하고 있다. 한전을 포함해 5대 발전사와 한수원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동안 총 9,738억원을 투자해 32만3,000kw규모의 신ㆍ재생에너지 설비를 갖추기로 한 것이다. 이 같은 한전그룹사의 계획은 산업자원부와 신ㆍ재생에너지 공급참여협약(RPA)를 맺고 있기 때문에 구두선에서 그칠 일도 아니다. ◇ 한전은 R&D, 발전사는 전력 생산 = 한전그룹은 전략적으로 신ㆍ재생에너지 중에서도 풍력과 태양광, 수소/연료전지 등 3대분야에 역량을 집중키로 하고 역할 분담을 했다. 전국의 송ㆍ배전망을 운영하는 한전은 직접적인 신ㆍ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은 지양하고 연구개발(R&D)에만 투자를 집중하는 한편 전력그룹사 전체의 신ㆍ재생에너지 사업을 조정하기로 했다. 이에 비해 5대 발전사는 회사별 특성에 맞는 신ㆍ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계획해 전력생산을 책임지기로 했다. 이에 따라 남부발전은 풍력에, 서부발전은 태양광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동서발전은 조력발전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 남동은 연료전지 분야에서 5대 발전사 중 유일하게 실제 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며 중부발전은 민간업체와의 다양한 전략적 제휴를 통해 신천지를 개척하고 있다. R&D 분야 또한 한전은 핵심기술을 집중개발하고 발전사들은 상용화를 위한 실제규모의 실증연구사업에 치중하기로 했다. 한전과 발전사들은 올 해까지 890억원을 R&D 부문에 투자, 연료전지 등 총 17개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2012년까지 한전과 발전사가 공동으로 3,895억원을 추가로 투자할 계획이다. 그러나 한전그룹의 지주사격인 한전의 신ㆍ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참여를 제약하는 것은 지나친 규제라는 지적도 일고 있다. 신ㆍ재생에너지 사업에 한 푼의 투자유치가 아쉬운 상황에서 사실상 국내에서 가장 큰 손인 한전을 배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관련업계의 전문가들은 정부가 신ㆍ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시행중인 ‘발전차액 보전’ 이나 ‘설비투자 보조’제도들은 소비자에 비용을 전가하고 정부의 재정 부담을 확대하는 측면이 있는 만큼 불필요한 규제로 대형 사업자들의 시장진입을 막기보다는 이를 장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입력시간 : 2005/11/21 16:3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