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디지털가전 핵심부품 수입의존도 최고 70%

제품가격 10% 기술료로… 부가가치 창출 한계주요 디지털가전제품에 들어가는 부품의 수입의존도가 높게는 70%에 달하고 품목에 따라서는 원천기술에 대한 기술료 제공비중이 제품가격의 10%를 넘고 있어 부가가치 창출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산업자원부의 '디지털가전산업 발전전략(안)'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TV, 디지털스틸카메라(DSC), DVD플레이어, 디지털비디오캠코더(DVC), 디지털 셋톱박스 등 디지털가전의 부품 가운데 20∼7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TV의 경우 칩셋과 렌즈ㆍ디코더 등 핵심부품을 중심으로 수입의존도가 20%에 달했고 디지털카메라는 메모리카드와 촬상(撮像)소자(CCD) 등 전체의 55%에 해당하는 부품을 수입해서 사용 중이다. 또 디지털캠코더도 8㎜ 제품 기준으로 칩셋과 헤드, 액정표시장치(LCD), CCD, 렌즈, 배터리 등 전체 부품의 60% 가량을 외국산으로 집어넣고 디지털 셋톱박스 부품도 수입산이 60%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DVD플레이어의 경우 레이저다이오드ㆍ포토다이오드ㆍ칩셋ㆍ모터ㆍ고전력모듈ㆍ중앙연산처리장치(CPU) 등 핵심부품을 중심으로 무려 70%가 수입제품으로 충당되고 있다. 이밖에 주력수출품목인 디지털TVㆍDVD플레이어 등의 경우 업체에 따라 제품가격의 10% 이상을 원천기술에 대한 기술료로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TV는 소니 등 특허를 보유한 11개 기업에 제공하는 기술료 부담이 제품가격의 11.1%에 해당하고 DVD플레이어도 기술료 비중이 15.0%에 달했다. 이병관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