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정부 R&D 10건중 6건 '셀프과제'로 나눠먹기] "안 주면 못 받아" 밀어주기 심각… 비리로 얼룩진 '그들만의 리그'

기획 참여 1,510곳 중 절반이 '주고받기' 참여

2009년부터 예산 증액 불구 제대로 된 성과 안나와

기획-수행자 차단막 절실


"출제위원끼리 시험 보고 채점하고 상까지 주고받는데 제대로 된 성과가 나오겠습니까. 정부 연구개발(R&D) 과제는 멤버들끼리 북치고 장구치는 줄 일찍부터 알고 있었습니다. 과제를 따기 위해 이너 서클에 들어가려고 작업하다가 포기한 기업들도 많습니다."

한 중소기업 대표는 정부 R&D 과제 밑단에 얽혀 있는 커넥션에 대해 "업계에서는 상식으로 통하는 이야기"라며 "갈수록 촘촘하고 은밀해지고 있다"고 귀띔했다.


정부는 매년 R&D 예산 늘리기에 골몰한다. 2009년 12조 원에서 2015년 18조8,245억 원으로 늘렸다. R&D 성공률도 97%나 되지만, 누구도 R&D의 성과를 높게 평가하지 않는다. 오히려 부실과 부정, 비리가 끊이지 않는다. 원인에 대해 진단과 처방은 다람쥐 쳇바퀴 돌 듯 반복될 뿐이다.

이번에 김진태 국회의원이 'R&D 기획자와 수행자의 관계분석'을 통해 소문으로만 떠돌던 검은 커넥션의 실체를 숫자로 보여줬다. 결국 기획자와 수행자의 유착관계를 끊지 않고는 R&D의 성공도 힘들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 셈이다.

김 의원은 "국가 R&D의 부실이 개별 사건이나 몇몇 인물만의 문제로 지적됐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R&D 과제기획부터 수행까지 검은 커넥션으로 꽉 짜여 있다는 점"이라며 "온몸에 암처럼 퍼져있는 유착관계를 바로잡지 않고는 R&D 비리와 질적 저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


실제 자료에는 정부 R&D 과제가 몇몇 연구원들의 유착에 의해 결정되고 수행자가 낙점됐다는 것이 숫자로 나와 있다. 2012년 PD(프로그램 관리자) 제도가 도입된 후에는 스스로 기획하고 수행하는 셀프과제가 줄고, 주고받는 커넥션과 기관의 셀프과제가 크게 늘었다.

관련기사



연구원 간 커넥션은 긴밀해지는 추세다.

A 연구원이 과제를 기획한 후 B 연구원이 수행하도록 밀어주면, 나중에 B 연구원이 과제를 기획해 A 연구원에게 밀어주는 식이다. 전체 기획자 7,545명 중 14.4%인 1,085명은 과제를 주고받는데 관여해 평균 5.41건을 밀어주고, 1.61건의 과제를 받았다.

커넥션이 2번 이상 있는 경우도 3,221쌍이나 됐다. 한국광기술원의 한 연구원은 같은 기관의 다른 연구원과 9건, 567억 원의 과제를 주고받았다. 한국전자부품연구원의 백 모 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조 모 연구원은 7건, 645억원의 과제를 주거니 받거니 하는 등 적게는 수십억에서 많게는 600억 원이 넘는 과제가 두 연구원 사이에 오갔다. 또 한국전자부품연구원의 이 모 연구원은 35명과 과제를 주고받는 등 연구원들의 유착관계가 점차 확대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기관 간 밀어주기도 공식처럼 받아들여지면서 '안 주면 못 받는 구조'가 됐다.

과제 기획에 참여한 1,510개 기관 중 절반에 가까운 695개 기관이 과제 주고받기에 참여했다. 이들 기관은 평균 5.52건의 과제를 수행했는데 이 중 95.4%에 달하는 5.26건이 밀어주기의 결과로 나타났다. 밀어주지 못하면 받지도 못하는 상황임을 보여준다.

한 R&D 평가위원은 "산기평 과제뿐만 아니라 다른 정부 R&D 과제도 연구원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고 보면 크게 틀리지 않다"며 "기획자와 수행자 간의 사회관계망 분석 등을 통해 최소한의 파이어월(차단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