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오늘의 경제용어] 국민계정

국민계정은 국민경제의 순환과 변동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회회계로서 경제활동을 거래형태별 및 거래에 참가하는 경제 주체별로 파악해 복식부기 방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즉 국민경제의 순환에 따른 변동을 각각의 거래형태와 거래주체간의 상호연관하에서 체계적으로 표시한 것이다.국민계정체계는 기존의 산업연관표, 국민소득통계, 자금순환표, 국제수지표 등 별개로 파악하고 있던 각종 국민계정 관련통계를 통합, 거시 경제분석에 적합하도록 거래형태와 거래주체를 경제활동에 있어서 동질성에 따라 몇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따라서 국민계정체계는 국민경제의 순환에 따른 변동을 실물거래와 금융거래의 활동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파악된 경제활동을 다음과 같이 구분해 작성하고 있다. 국민경제의 변동에 의한 재화와 용역의 공급과 처분내역은 생산·소비지출·자본형성계정에, 소득의 분배와 처분내역은 소득지출계정에, 자본의 조달과 축적내역은 자본조달과 축적계정에 표시된다. 그리고 해외와의 거래내역은 대외거래계정에 기록되고 국부통계인 국민대차대조표 계정도 포함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