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에셋 플러스] 특정종목 상품보다 분산 투자 유리… 경기상황·중도환매조건 등도 파악을

■ 투자는 어떻게

주가연계증권(ELS)이란 국내외 개별주식의 가격이나 주가지수에 연계해 사전에 정해진 수익구조에 따라 손익이 결정되는 파생결합증권이다. ELS는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수준 하락할 때까진 원금보장구간을 연장하는 대신, 기초자산 가격이 올라갈 땐 인덱스펀드 보다 상승률이 낮은 구조로 설계된 상품이 많다. 따라서 주가상승시엔 인덱스펀드 보다 수익률이 낮지만 주가하락시엔 원금보장구간 때문에 유리한 상품이란 점에서 주식 보단 위험성이 다소 낮은 대안상품이라 할 수 있다. ELS는 손익구조에 따라 원금보장형, 원금비보장형, 원금부분보장형, 조기상환형, 스텝다운형 등 매우 다양하게 나뉜다. 전문가들은 특히 안정성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의 경우 기초자산이 주가지수거나 주가방어에 강한 업종 대표주로 구성된 ELS에 투자하길 권유하고 있다. 지수의 경우 일반적으로 개별종목 보다 변동성이 낮은 데다가 업종 대표주는 주가 하락 지지선이 다른 종목보다 상대적으로 견고해 손실을 입을 위험이 적기 때문이다. 추종 주가지수에 해당하는 국가의 경제상황과 종목별 업종 전망을 꼼꼼히 체크하는 것도 물론 필수다. 또 전문가들은 첫 조기상환조건이 낮을수록, 만기평가일 전에 원금손실조건이 없을수록 ELS투자로 인한 손실 위험이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원금비보장형 상품의 경우엔 만기가 길면서 여러 번 조기상환기회를 갖는 상품이 유리하다는 평가다. 이밖에 특정한 기초자산 종목의 ELS에만 집중 투자하기 보다 ELS도 여러 상품에 나눠 분산투자하는 것이 수익내기에 유리한 것으로 지적됐다. 최창규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ELS 투자시에는 자신의 투자 성향에 따라 원금보장여부, 중도환매조건 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