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대우조선 매각 4년 만에 재추진

금융위 블록딜 방식 검토

정부가 4년여 만에 다시 대우조선해양 매각에 나선다. 공적자금 조기 회수를 위해 정부가 가진 대우조선 지분을 시간외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9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대우조선 주식 3,280만여주(전체 지분의 17.15%)를 팔기로 하고 매각 주관사 선정을 위해 투자기관에 제안 요청서를 돌렸다. 금융위는 다음달 중에 매각 주관사를 정하고 대우조선 지분 매각을 위한 최적 시기와 조건을 연내에 결정한다.


자산관리공사(캠코)는 지난 2월 부실채권정리기금 운용시한이 만료되자 보유 중이던 19.1%의 대우조선 지분 가운데 17.15%를 금융위에 넘겼다. 대우조선 최대주주는 31.3%의 지분을 보유한 산업은행이어서 금융위가 지분을 팔아도 경영권이 바뀌지는 않는다.

관련기사



금융위가 대우조선 지분 매각을 추진할 경우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에 재위탁해 지분을 묶어 파는 방식이 유력해 보인다. 이 경우 최대 50%에 가까운 지분이 한꺼번에 팔려 새 주인에게 경영권을 넘길 수 있다. 금융위나 산은으로서도 경영권 프리미엄으로 더 많은 돈을 받을 수 있다.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