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신협 4곳중 1곳 부실 조기경보

5년간 43개 신협서 1천179억원 임직원 비리신용협동조합 4개중 1개꼴로 부실화 경고를 받은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대구 남부신협에서 임직원의 366억원 고객예금 횡령사건이 일어나는 등지난 5년간 43개 신협에서 모두 1천179억원 규모의 임직원 비리가 발생했던 것으로밝혀졌다. 11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체 1천280개 신협 조합중 부실화 진전도가 심각한 조기경보 대상 신협은 지난해 3월 제도도입 이후 모두 333개로 조사됐다. 신협 조기경보제도는 금감원이 신협의 건전성과 위험도를 측정, 부실화 진전도에 따라 A(부실화 조합)그룹, B(이상징후기업)그룹 8개 유형으로 나누어 매월 대상을 선정한다. 그동안 금감원은 조기경보를 받은 이들 조합중 174개 조합에 대해 검사.조사를벌여 이중 15개 조합을 파산 조치하고 5개 조합은 경영관리, 154개 조합은 경영정상화 대상 조합으로 선정한 다음 관리인을 선임했다. 이밖에 24개 조합은 신협중앙회 지역본부에 검사, 또는 실태조사토록 하고 135개 조합은 재무구조 변동상황을 수시로 분석하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와함께 지난 5년간 신협 임직원의 고객예금 횡령, 타인명의 대출, 부당대출,공금횡령 등 비리사건은 모두 43건으로 비리 규모만 1천17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대구남부신협 임직원의 고객예금 횡령 규모는 366억원에 달했으며 예맥신협에서는 잇따라 2건의 임직원 공금횡령 사건이 발생했다. 금감원은 조기경보제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모델을 개발중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정주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