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야] "장외집회 경제회생에 찬물"

제1당인 한나라당 장외투쟁이 한국경제 회생에 찬물을 끼얹고있다.특히 한나라당의 장외투쟁 장기화 방침이 국제통화기금(IMF)는 물론 뉴욕 월가, 외국언론들로부터 한국경제의 걸림돌이라는 지적이 받고있다. 뉴욕타임즈는 최근 한국의 정치불안이 어두운 그림자로 다가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여기에 스탠더드 앤 푸어스(S&P)사는 야당이 빅딜지역의 근로자들을 부추겨 신용등급 추가 상승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실제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는 지난 22일 청주간담회와 31일 구미집회에 참석, LG반도체와 대우전자을 의식, 충북산업의 기반을 흐트리는 빅딜은 백지화돼야하고 현 정부의 빅딜은 시장독재라고 빅딜 해당지역 근로자들을 일부 부추겼다는 지적마저 나오고있다. 그런데도 한나라당은 이에 아랑곳하지않고 오는 7일 수도권지역인 인천 부평역 인근 동화 시티백화점에서 대우전자 빅딜문제와 경기은행 퇴출 등 현정부의 경제실정(失政)을 규탄하는 옥회집회를 강행할 예정이다. 경제회복에 안간힘을 쏟고있는 정부와 재계는 야당의 이같은 장외투쟁 방침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시하고있다. 특히 정부와 여당이 우려하고 있는 것은 한나라당이 추진한 옥외집회 지역이 외국신용평가회사와 언론으로부터 지적받은 빅딜 대상지역이라는데 문제가 있다. 물론 한나라당으로선 이 지역의 경우 집회을 위한 군중동원이 상대적으로 쉽고 자발적 참여 인원이 많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국민회의는 야당의 장외투쟁에 맞서 고육지책으로 설연휴전 수출및 구조조정 현장 등을 방문, 현장정치에 주력, 맞불작전을 놓고 있다. 결국 외국신용평가회사 등이 지적한 야당의 협조 여부에 따라 우리경제의 사활여부가 달려있는 만큼 여권의 관용정치가 절실할 때라는 시각도 없지않다. 정·재계 일각에서는 야당이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뤄내면 여야 총재회담을 수용, 대화로 현난국을 풀어나가야 되지않겠느냐는 목소리도 적지않다. 한나라당 안택수(安澤秀)대변인이 3일 『경제회생을 위해서라도 국민회의는 청와대 눈치만 살피지말고 조속히 여당으로서의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국민회의 김재일(金在日)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빅딜과 지역문제를 연결시켜 지역주의를 간접 선동하는 것이 민생안정을 위한 것인가』라고 되묻고 『민생을 도탄에 빠뜨리고 지역경제를 파탄에 빠뜨린 주역은 바로 한나라당』이라고 비판했다. 이에따라 국민회의는 일단 설연휴전까지는 물밑접촉이 없다고 판단, YS부자의 청문회 증언문제와 현철(賢哲)씨의 사면복권문제을 압박, 야당의 장외집회 취소를 유도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그러나 여권의 야당 파괴공작에 맞서 장외투쟁을 계속 강행할 것이라고 강변하고 있다. 영남권 지구당의 경우 집회요청 주문이 쇄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16대 총선을 겨냥한 일종의 텃밭다지기로 인식, 다음 선거때 승리를 노린 포석이라는 분석도 나오고있다. 하지만 수도권 지역 야당 의원들은 크게 흔들리고 있다. 한나라당은 잇단 영남지역 장외집회를 통해 활력을 얻었으나 상대적으로 수도권지역 의원들은 영남집회 성과와 반비례로 비난여론이 거세 고민중이다. 실제 이들은 정계개편 움직임에 갈피를 못잡고 있어 李총재도 곤혹스런 입장이다. 영남집회에 의존할수록 수도권지역과 강원도 의원들의 여당행을 자극할 공산이 크다. 따라서 李총재를 비롯한 한나라당 지도부는 이제라도 눈앞의 당리당략을 떠나 민심의 흐름을 제대로 파악, 장내외 투쟁 방식보다는 대화정치쪽으로 전환하는 것이 현명하지않을까.【양정록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