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채권단 쌍용건설 지원 진통

대부분 아직 동의서 안보내… 해외수주 물거품 위기

쌍용건설의 기업재무구조개선작업(워크아웃)이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다. 금융 당국까지 나서 쌍용건설 지원을 채찍질하고 있지만 채권단 의견이 엇갈리면서 쌍용건설 회생이 진통을 거듭하고 있다.

21일 금융계에 따르면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쌍용건설에 대한 자금지원 및 워크아웃 개시 동의 여부를 지난 16일까지 받기로 했지만 대다수 부채권기관은 아직 동의서를 보내지 않았다.

채권단이 중지를 모으지 못하자 금융 당국은 이날 시중은행 여신담당 부행장들을 소집해 협조를 당부했다. 그러나 채권단 분위기는 여전히 냉담하다.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아직 내부적으로 여신위원회를 열지도 않았다"며 소극적인 자세를 내비쳤다.

관련기사



채권단은 공적 금융기관인 자산관리공사(캠코)의 비협조적인 태도를 문제 삼고 있다. 캠코는 얼마 전까지 쌍용건설의 최대주주였지만 2월 부실채권정리기금을 종료하면서 보유지분을 채권단에 모두 떠넘겼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워크아웃에 참여하지 않아도 되는 비협약 채권자인 군인공제회가 1,144억원의 대출금 회수를 추진하는 것도 논란거리로 전해졌다.

이처럼 쌍용건설에 대한 자금지원이 지연됨에 따라 이 회사가 추진하는 대규모 해외 수주가 물거품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쌍용건설은 초고층 빌딩, 해저터널 등 고난도 토목공사에 강점을 지니고 있어 현재 해외 발주처의 입찰자격 사전심사(PQ)를 통과한 공사만 20조원에 달한다.

또 다른 채권단 관계자는 "쌍용건설이 무너지면 1,400여개의 협력업체에 미치는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며 "새 정부도 쌍용건설 지원에 무게를 싣고 있어 진통을 겪더라도 결국 지원이 이뤄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