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글로벌 후원도 전략 실천 필요


베트남에서, 필리핀에서, 또는 북한에서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아 한국에 온 사람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이다. 이들은 과거 우리 누이와 삼촌들이 광부로 간호사로 일자리를 찾아 외국으로 떠났던 경험을 떠올리게 한다. 이제 도시건 농촌이건 어딜 가든 이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전혀 낯설지 않은 우리 이웃의 모습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안타까운 점은 이들 중 상당수가 이곳 대한민국 땅에서 녹록하지 않은 삶을 살아가고 있고 때로는 사회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미취업으로 인한 생계 곤란, 자녀의 학교 부적응 등 이들이 일상에서 부딪히는 어려움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이다. 관련 정부통계에 따르면 국제결혼가정 자녀 10명 중 2명이 집단 따돌림을 경험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정의 학령기 아동 중 24.5%가 정규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 정부와 공공기관ㆍ기업체 등 사회 각계에서는 이러한 문제해소를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 사업을 펼치고 있다. 수출입은행의 경우 대표적인 사례가 다문화 자녀 학습지도를 위한 공부방 설치(전국 6곳), 사회적기업 후원을 통한 이주여성 및 북한이탈주민의 일자리 창출 등이다. 이러한 사업은 단순 금전기부보다 이들의 국내정착을 위한 세부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탓에 만족도도 높아 후원의 보람이 배가되고 있다. 수출입은행의 후원으로 광주광역시 다문화센터에 설치된 '빛고을 공부방'은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학습지도공간과 더불어 이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정서교육의 장으로서 기능을 톡톡히 하고 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 하지 않았던가. 이들을 다문화적 감수성과 이중언어 구사능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로 키우는 것은 우리의 작은 관심만 있다면 어렵지 않은 일이다. 공정사회가 화두다. 대기업은 중소기업을, 가진 자는 그렇지 못한 자를 배려해야 하고 우리 사회는 이주여성과 북한이탈주민 등 새로운 구성원들을 가슴으로 품어야 한다. 이들에 대한 차별과 소외, 그리고 무관심은 바로 사회통합 지연과 더불어 궁극적으로 사회경제적 비용부담 증가로 이어진다. 수출입은행 등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 전략적 사회공헌 실천이 필요한 까닭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