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삼성차 처리] 금감위 "삼성이 책임져라"

금융감독위원회 입장은 한마디로 「삼성이 알아서 모든 것을 해결하라」는 것이다. 또 그 해결 방법은 삼성자동차의 채권단이 그룹측과 협의를 통해 국민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한다.김영재 금감위 대변인은 『이건희 삼성회장이 경영에 책임을 지고 사재출연을 결심한 이상 출연규모가 작아 채권단에 손실을 끼칠 수 있다면 손실금액 전부를 책임지고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식가치가 미달해 채권단에게 손실을 끼친다면, 추가출연을 통해서라도 부족분을 메우라는 것이다. 그는 김대중 대통령이 언급한 「채권단의 부담」도 사실은 『채권단이 책임지고 국민의 손실로 이어지지 않도록 삼성으로부터 부채 전부를 회수하라』는 뜻이라고 주장했다. 금감위는 또 삼성차 부산공장의 가동에 대해 『부채가 해결된 이후에는 부산공장의 경제성이 있다』며 부산공장 재가동이라는 종전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이같은 표면적인 반응뒤에 금융감독당국에서는 상부의 정책결정과 전혀 상반된 의견들도 엇갈리고 있다. 한 관계자는 『이헌재 위원장이 정치논리에 밀려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경제논리라면 의당 부산공장은 폐쇄되는게 옳다』고 강조했다. /김영기 기자 YGKIM@SED.CO.KR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